시위와 소요는 중국 사회를 위협하는 제1의 불안요인이 됐으며, 이로 인해 중국 공산당의 국정수행능력에 도전이 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의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IHT)은 9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의 전날 보도를 인용해 이 같이 보도했다.
신화통신은 나아가 지난해 12월 중국 광둥(廣東)성 산웨이(汕尾)시에서 발생한 경찰의 시위대 발포로 최소한 주민 3명이 사망한 사건을 거론하면서, `집단사건'(mass incidents.집회시위를 일컫는 중국의 공식 용어) 대응시 경찰력의 신중한 사용도 주문했다.
신화통신은 8일자 논평기사에서 "집단사건이 크게 증가하고 광범위해지면서 사회 안정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가장 두드러진 문제점이 됐다"면서 이런 사건들은 "개혁이 중차대한 현 시점에서 부상한 다양한 사회적 갈등과 문제점을 반영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통신은 이어 중국 사회가 전반적으로 조화롭고 안정돼 있지만, 이런 `집단사건'을 적절하게 다루는 것이야말로 중국 지도부의 통치능력을 가늠하는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통신은 경찰력 사용과 관련, "경찰을 배치하고 무기를 사용하며 강제 조치를 구사하는데 있어 신중을 기한다는 원칙에 충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공권력의 부적절한 사용'은 갈등을 격화시킬 수도 있다고 지적하면서 그러나 심각한 폭력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단호한 대처'가 확립돼야 한다는 논지를 전개했다.
지난 30여년간 이행된 시장경제 개혁조치로 생활수준이 크게 향상됐으면서도 동시에 빈부.노동격차가 심화되면서 중국은 지난 몇년간 급증한 집회.시위 등의 불안요인과 씨름해 왔다.
토지개발에 따른 농지상실, 부패, 공해 증가, 임의퇴거에 대한 증오심과 국영기업들의 해고 조치는 중국인들에게 더 과감한 행동을 촉발시켰다고 IHT는 전했다.
김화영 기자 quintet@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