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발전 수준 중진국...능력은 10위권
'지속가능한 발전' 문화공정 첫 집대성
'지속가능한 발전' 문화공정 첫 집대성
중국이 오는 2050년까지 국력을 세계 3대 강대국 안에 진입시킨다는 내용의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을 수립했다.
중국과학원 소속 사회학자와 정책전문가 184명은 12일 지난 2년8개월 동안의 연구를 집대성한 20권분량의 '중국지속가능발전총강'을 내놓았다.
이 정책보고서는 오는 2050년 중국의 인구와 자원, 환경, 경제, 사회, 과학기술, 교육, 문화 등을 전망하고 중국의 발전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총강에 따르면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의 목표로 2050년까지 국력을 세계 3위권 이내로 진입시키고 발전 수준을 중진국 수준으로 올리기로 했다.
또 2050년 인구와 식량, 자원, 환경, 사회평등 등 발전을 제한하는 장애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능력이 세계 10위권 이내에 들도록 했다.
특히 오는 2050년 중국인의 평균 수명은 85세로 지금의 71.8세보다 13.2세가 늘어나고 평균 교육 기간도 지금의 8.2년에서 14년으로 크게 연장된다.
또 2030년 인구 자연증가율이 제로 수준으로 떨어지고 2040년에는 에너지 및 자원 소비증가율이 0%, 2050년엔 환경악화율이 0%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정책전문가들은 특히 2050년 전체 국민경제에서 과학발전의 공헌율이 75% 이상에 달하게 되며 전국의 빈곤문제가 기본적으로 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중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이번 문화공정을 주도한 루융샹(路甬祥) 중국과학원 원장은 중국이 앞으로 직면할 '6대 도전'도 제시했다. 앞으로 중국이 직면할 도전으로는 막대한 인구, 에너지 및 자원 부족, 악화되는 환경문제, 도농격차 확대, 사회평등 결여, 제도개혁과 문화창조가 꼽혔다. 권영석 특파원 yskwon@yna.co.kr (베이징=연합뉴스)
또 2030년 인구 자연증가율이 제로 수준으로 떨어지고 2040년에는 에너지 및 자원 소비증가율이 0%, 2050년엔 환경악화율이 0%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정책전문가들은 특히 2050년 전체 국민경제에서 과학발전의 공헌율이 75% 이상에 달하게 되며 전국의 빈곤문제가 기본적으로 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중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이번 문화공정을 주도한 루융샹(路甬祥) 중국과학원 원장은 중국이 앞으로 직면할 '6대 도전'도 제시했다. 앞으로 중국이 직면할 도전으로는 막대한 인구, 에너지 및 자원 부족, 악화되는 환경문제, 도농격차 확대, 사회평등 결여, 제도개혁과 문화창조가 꼽혔다. 권영석 특파원 yskwon@yna.co.kr (베이징=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