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중국

중국 ‘중의약’ 세계유산 등재 2005년 내 신청

등록 2005-01-12 18:41수정 2005-01-12 18:41

중국은 ‘중의약’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신청할 방침이다.

중국 국가중의약관리국은 12일 중국 전통의학과 약학, 소수민족 의약 등을 포함한 ‘중의약’을 ‘비물질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신청할 방침이라고 밝혔다고 홍콩 <대공보>가 보도했다. 선즈샹 국가중의약관리국 국제협력국 국장은 “중국 교육부·문화부·위생부 등 관련부처와 협력해 이미 신청 보고서의 초안을 작성했으며 내용에 좀더 완벽을 기해 올해 안으로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는 2003년에 펴낸 ‘세계 전통의학 발전전략’에서 한약·침술 등 중국의 전통의학이 세계에서 폭넓게 주목받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중의약의 현대화와 세계화를 추진해온 중국 당국은 지난해 말까지 미국·캐나다·프랑스·영국·독일 등 51개국과 중의약 관련 협력 조항이 포함된 협의서를 체결했고, 노르웨이·아일랜드 등 17개 국가와는 전문적인 중의약 협력 협의서를 체결한 바 있다. 세계 130여개 국가에서 중의학 의료기관은 5만여곳, 공인받은 중의학 의사는 2만여명, 침술사는 10만명을 넘어섰다고 보도는 전했다. 또 현지인 가운데 30%, 화교 가운데 70%가 매년 중의약을 통한 치료·보건 서비스를 받고 있다고 보도는 덧붙였다.

중국이 ‘중의약’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움직임과 관련해 안규석 경희대 교수(한의학)는 이날 “필리핀 마닐라에 있는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역본부는 ‘중의약’이라고 한정하지 않고 ‘전통의학’이란 표현을 쓰고 있다”며 “‘중의약’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경우 한국·일본·베트남 등 중국의학과 유사하지만 지역 특성에 맞게 발전시켜온 전통의학이 유네스코의 지원 등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비물질 세계유산’은 다양한 형식의 민족 전통과 지식체계, 언어, 구비문학, 풍속, 민족음악, 춤, 예절, 수공업, 전통의학, 건축기술, 예술 등을 대상으로 한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