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정부, 경쟁력 향상 위한 인재등용 "문제없다" 주장
홍콩 정부가 최근 외국 국적자를 대거 차관급 고위공직자로 임명한 것을 둘러싸고 논란이 한창이다.
하지만 도널드 창(曾蔭權) 홍콩 행정장관은 경쟁력 향상을 위한 인재 등용일 뿐이라며 정부가 잘못한 일이 없다고 논란을 일축했다.
홍콩 정부는 지난 20일 상무경제발전국 부국장에 민주홍콩건설협진연맹(민건련) 부주석이었던 그렉 소(蘇錦樑) 변호사를 임명하는 등 모두 8명의 신임 부국장(한국의 차관급) 명단을 발표했다.
하지만 석연찮은 인사내용에 언론의 추적보도가 시작되면서 가장 먼저 소 부국장이 캐나다 여권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어 케네스 천(陳維安) 교육국 부국장이 미국 시민권자를 갖고 있고 가브리엘 렁(梁卓偉) 식품위생국 부국장이 캐나다 여권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등 7명중 5명이 외국 국적자인 것으로 드러났다.
급기야 예비 고위공직자인 정치조리(助理)로 임명된 9명 중에서도 3명이 '외국인'인 사실이 밝혀졌다.
홍콩 정부는 "홍콩 기본법(헌법격)에 부국장의 국적을 제한하는 규정은 없다"고 밝혔지만 여론의 압박은 더욱 거세지면서 이들에 대한 과다 연봉지급 문제까지 도마에 올랐다.
홍콩 정부가 이들 부국장의 연봉이 233만∼268만홍콩달러(약 3억∼3억5천만원)에 이른다고 밝히자 더 구체적인 내역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과 다른 점이 있다면 이들에 대한 사임 압박보다도 이들이 공식 업무를 시작하기 앞서 외국 국적을 포기해야 한다는 요구가 대부분이었다는 점. 웡쿽힝(王國興) 공련회 소속 의원은 "이중 국적자는 양쪽의 세상을 위해 모두 최선을 다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으며 톈베이춘(田北俊) 자유당 주석은 "정치적 야심을 갖고 있다면 외국 국적 포기가 빠를수록 좋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창 행정장관은 상하이를 방문 중이던 지난 달 31일 "이중국적자를 고위공직자로 임명하는 것엔 문제가 없다"고 반박하며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그는 "홍콩 정부의 판단은 인재 활용과 법규 준수라는 2가지 원칙에 근거하고 있다"면서 "홍콩 주권반환 이전 수십만명의 전문직 인재들이 외국 체류권을 취득했던, 홍콩만의 독특한 역사적, 사회적 현실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실 홍콩 공직자 중에는 부국장보다 더 큰 권한을 갖고 기밀을 다루거나 민감한 정보를 처리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이들에게 국적 요건을 내세우진 않는다. 부국장에게만 이런 요구를 한다면 얼마나 영향이 클지 생각해보라"고 덧붙였다. 이들 부국장은 2일부터 공식 업무를 시작한다. (홍콩=연합뉴스)
한국과 다른 점이 있다면 이들에 대한 사임 압박보다도 이들이 공식 업무를 시작하기 앞서 외국 국적을 포기해야 한다는 요구가 대부분이었다는 점. 웡쿽힝(王國興) 공련회 소속 의원은 "이중 국적자는 양쪽의 세상을 위해 모두 최선을 다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으며 톈베이춘(田北俊) 자유당 주석은 "정치적 야심을 갖고 있다면 외국 국적 포기가 빠를수록 좋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창 행정장관은 상하이를 방문 중이던 지난 달 31일 "이중국적자를 고위공직자로 임명하는 것엔 문제가 없다"고 반박하며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그는 "홍콩 정부의 판단은 인재 활용과 법규 준수라는 2가지 원칙에 근거하고 있다"면서 "홍콩 주권반환 이전 수십만명의 전문직 인재들이 외국 체류권을 취득했던, 홍콩만의 독특한 역사적, 사회적 현실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실 홍콩 공직자 중에는 부국장보다 더 큰 권한을 갖고 기밀을 다루거나 민감한 정보를 처리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이들에게 국적 요건을 내세우진 않는다. 부국장에게만 이런 요구를 한다면 얼마나 영향이 클지 생각해보라"고 덧붙였다. 이들 부국장은 2일부터 공식 업무를 시작한다. (홍콩=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