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중국해상의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尖閣>열도)에 대한 영유권을 놓고 일본과 분쟁중인 중국은 일본이 중등교과서 해설서에 독도 영유권을 명기하기로 결정한 데 대해 비상한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외교부는 그러나 독도영유권 문제가 제3국간의 문제인데다 최근 일본과의 관계가 밀접해지고 있는 때문인지 15일 오전 현재 아무런 공식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신화통신, 인민일보, CCTV 등 관영 언론 매체들은 정부의 이런 입장을 반영하듯 이번 독도 문제에 대해 일본의 발표와 한국의 거센 항의 반응 등 논평없이 사실 보도만을 했다.
신화는 '한일간에 도서분쟁 다시 파란'이라는 제목 아래 한국의 강력한 반발과 엄정대처 등을 중심으로 독도 영유권 분쟁을 보도했고, 대부분의 언론매체들은 이 기사를 그대로 인용해 실었다.
그러나 상하이에서 발행되는 동방조보(東方早報)는 이날 '한국은 일본의 독도영유권 명기를 영토주권 침범으로 간주' 제하의 기사에서 한국이 일본의 독도영유권 명기 발표에 권철현 주일대사를 소환하고 시게이에 도시노리(重家俊範) 주한 일본대사를 불러 엄중 항의하는 등 신속하게 강경 대응조치에 나서 동북아의 안정 국면이 취약해졌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또 일본측이 한국에 대해 냉정 대처를 촉구한데 대해 일본이 한국에 냉정 대처할 틈을 주지 않고 전격적으로 독도영유권 명기를 발표, 분란을 일으켰다고 꼬집었다.
(베이징=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