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화 정책 결실…‘무노조 경영’ 삼성·월마트도 허용
중국이 외국기업의 노조(공회) 설립 의무화를 강력하게 추진한 결과 중국 진출 다국적 기업의 약 80%에 노조가 설립되고 있다.
중국의 단일 노총인 중화전국총공회 간부 왕잉은 12일 <뉴욕타임스>에 “9월말까지 중국에 진출한 세계 500대 기업중 약 80%에 노조가 설립될 것”이라며 “우리는 위대한 진전을 이뤄가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와 긴밀한 관계로 사실상 국가기관으로 인식되는 중화총공회는 이번달 30일까지 중국 진출 외국기업들이 의무적으로 노조를 설립하도록 요구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중화총공회는 2~3년 전부터 노조 설립을 독려했다. 일부 기업들은 노조원 의사에 상관없이 노조 설립을 의무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다며 반발했지만, ‘중국 시장’의 매력 앞에 모두 고집을 꺾었다. 전 세계에서 무노조경영을 고집해온 월마트는 지난 2006년 노조 설립에 동의해 현재 중국의 108개 매장 전체에 노조가 설립됐다. 월마트는 지난 7월 노조와 올해 임금 협상을 벌여 8% 임금 인상에 합의했다.
무노조 경영의 또다른 대표주자인 삼성의 중국법인 관계자도 “중국 법과 질서를 존중한다는 입장에서 공회 설립을 막지 않는다"며 톈진 등 지역 법인별로 노조가 설립돼 있다고 밝혔다. 케이에프시(KFC)와 피자헛, 맥도널드도 모두 노조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마이크로소프트 중국 지사나 컨설팅 기업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등은 아직 노조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다국적 기업들 사이에는 ‘중국식 노조’인 공회의 미래에 대한 ‘불만과 불안’이 깔려 있다. 외국 기업들은 그동안 노조의 아무런 간섭 없이 저임금 노동자들에게 전권을 행사해왔다. 아동 노동을 시키거나 야근수당도 주지 않고 일주일에 100시간 이상 노동을 시키는 사례도 흔히 지적됐다. 공회는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나 임금 인상보다는 오히려 노동자들의 행동을 통제하고 회사에 협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최근 후진타오 정부가 ‘조화사회’를 강조하며 빈부격차와 내부 갈등 해소에 적극 나서면서, 앞으로는 노조의 기능이 강화되고 노동자들의 목소리도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중화총공회 간부인 왕잉은 “중국에 진출한 외국 기업들이 노동자들의 이익과 권리 문제에서 제대로 행동하지 않고 있다. 경제·사회 발전에 따라 중국도 노동자들의 법적 권리와 이익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박민희 기자, 베이징/유강문 특파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