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강제구조조정 가속화 신호탄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 속에 중국의 중앙 언론사가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처음으로 파산했다.
중국경제주간은 신문·출판업계를 관리하는 부서인 국가신문출판총서가 최근 전국지인 중화신문보(中華新聞報)를 폐간하고 청산 절차에 돌입했다고 14일 보도했다.
신문출판총서는 지난달 말부터 청산팀을 구성해 이 신문사의 채무를 정리하고 직원의 해고 문제를 처리하는 사후절차에 돌입했으며 이 신문사의 영업허가도 말소하기로 했다.
채권자들은 공고 발표 90일 내에 청산팀에 채권 관련 자료를 신청해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으며 청산 기간 신문사는 청산 이외의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
1993년 5월 5일 창간된 중화신문보는 중화전국신문종사자협회가 발간하는 전국지로 미디어와 인물, 경제 등을 위주로 주 3회 발행돼 왔다.
이 신문사는 중앙 정부의 관리를 받으며 전국지 매체로서 폐간절차를 밟는 첫번째 신문이란 불명예를 안게 됐다.
이 신문사는 인건비 부담 등 극심한 경영난에 시달려 오면서 각종 자금 확보 방안을 강구했으나 여의치 않자 최종적으로 파산절차를 밟게 됐다. 이 신문은 정부가 추진하는 구조조정 방식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버텨온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는 2003년부터 국가의 예산 부담을 줄이고 스스로 자구책을 찾게 하는 민영화 방식으로 구조조정을 추진해 왔으나 각 매체별 이기주의 등으로 인해 쉽게 진행되지 않았다. 중국 미디어업계는 이 신문의 파산결정에 대해 정부가 미디어업계에 대한 강제 구조조정을 본격화하려는 신호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중국경제주간은 이번 사건은 2010년 이전까지 민영화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신문사에 대해 폐간도 불사하겠다는 정부의 단호한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조치라고 분석했다. 홍제성 특파원 jsa@yna.co.kr (베이징=연합뉴스)
이 신문사는 인건비 부담 등 극심한 경영난에 시달려 오면서 각종 자금 확보 방안을 강구했으나 여의치 않자 최종적으로 파산절차를 밟게 됐다. 이 신문은 정부가 추진하는 구조조정 방식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버텨온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는 2003년부터 국가의 예산 부담을 줄이고 스스로 자구책을 찾게 하는 민영화 방식으로 구조조정을 추진해 왔으나 각 매체별 이기주의 등으로 인해 쉽게 진행되지 않았다. 중국 미디어업계는 이 신문의 파산결정에 대해 정부가 미디어업계에 대한 강제 구조조정을 본격화하려는 신호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중국경제주간은 이번 사건은 2010년 이전까지 민영화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신문사에 대해 폐간도 불사하겠다는 정부의 단호한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조치라고 분석했다. 홍제성 특파원 jsa@yna.co.kr (베이징=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