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중국

덩샤오핑-홍콩총독 1979년 회담비화 공개

등록 2010-01-03 11:52

덩샤오핑, ‘홍콩 흡수 또는 현상유지중 택일’ 제안
중국 `개혁.개방의 총설계사'인 덩샤오핑(鄧小平)이 1979년 당시 머레이 맥러호스 홍콩 총독과의 회담에서 1997년 이후 홍콩의 장래에 대해 유연한 입장을 제시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사실은 1979년 3월 29일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덩샤오핑과 맥러호스 총독의 회담과 관련한 영국 외무부 보고서가 최근 공개됨에 따라 밝혀졌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일자로 보도했다.

덩샤오핑과 맥러호스 총독간 회담과 관련한 영국 외무부의 보고서는 영국 런던에 위치한 국립문서보존소에서 비공개 기록물로 보존돼 오다 최근 `비공개 30년 연한'이 경과함에 따라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덩샤오핑은 맥러호스 총독과의 회담에서 영국의 홍콩 신계지역에 대한 조차 기간이 끝나는 1997년 이후 홍콩의 장래에 대해 `홍콩을 접수하거나 혹은 계속해 현상유지를 허용하든지' 두 가지 방안 가운데 하나를 택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덩샤오핑은 회담에서 "1997년에는 두 가지 해결책이 있다. 하나는 홍콩을 접수하는 것이고 또다른 하나는 현재와 같은 지위를 허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덩샤오핑과 맥러호스 총독간 회담은 중국과 영국이 홍콩의 주권 문제에 대해 최초로 논의한 고위급 회담이며 맥러호스 총독이 베이징을 방문해 이뤄졌다.

인민대회당에서 1시간가량 이뤄진 회담에서 덩샤오핑은 또 "중국은 일관된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다"면서 "홍콩의 주권은 중국에 있다. 그러나 홍콩은 고유의 특수한 지위가 있다"고 말했다.

덩샤오핑은 또 "우리(영국과 중국)가 이 문제(홍콩의 장래)에 대해 논의하게 될 때 중국은 홍콩의 특수한 지위를 존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회담에서 맥러호스 총독은 99년간의 조차기간이 끝나는 1997년 이후에도 신계지역에 대한 조차기간을 연장하기를 희망한다는 뜻을 덩샤오핑에 전했으나 덩샤오핑은 이에 대한 즉답을 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덩샤오핑의 언급은 1982년 당시 대처 영국 총리와의 회담 때에 비해 홍콩의 장래에 대해 매우 유연한 입장을 밝힌 것이라고 SCMP는 분석했다.

덩샤오핑은 대처 전 총리와의 1982년 회담에서는 `중국은 1997년에 홍콩을 접수하겠다'고 명시적인 언급을 했다.

덩샤오핑과 맥러호스 총독간 회담에 배석했던 퍼시 크래독 당시 주중 영국대사는 한 달 후 본국에 보낸 전문에서 덩샤오핑이 회담에서 말한 핵심 내용은 `홍콩의 주권은 중국에 속해 있지만 주권을 실제로 행사할 시기는 불확실하다'는 것이었다고 썼다.

이어 크래독 대사는 1979년 7월 중국 외교부측에 맥러호스 총독이 덩샤오핑과의 회담에서 제시한 신계지역 조차기간 연장 방안을 제시했으나 중국측이 두 달 후 `불필요하고 부적절한 방안'이라고 거부의사를 밝혀왔다고 전했다.

덩샤오핑은 이미 1979년 맥러호스 총독과의 회담에서 현재 홍콩과 마카오에 적용되는 `일국양제'(一國兩制) 개념을 제시한 것으로 SCMP는 해석했다.

덩샤오핑은 3년후인 1982년 영국으로부터 홍콩의 주권을 반환받으면서 "이번 세기(20세기)와 다음 세기(21세기)에도 중국은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겠지만 홍콩은 계속해서 자본주의 체제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앞서 덩샤오핑은 1978년 중국 공산당 11기 3중전회에서 `사회주의를 핵심으로 하되 경제는 사회주의 계획경제와 자본주의 시장경제 두 체제를 병행할 수 있다'는 논리를 제시했다.

이 개념은 먼저 선전(深천<土+川>) 등 경제특구에 적용된 뒤 홍콩과 마카오에 대한 통치원칙으로 발전했으며 나아가 대만과의 양안 통일원칙으로 확대됐다.

(홍콩=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