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철수’ 보도 잇따라
후유증 예방조처 강구중
후유증 예방조처 강구중
올해 미-중 관계 악화의 신호탄이 된 ‘구글 사태’가 구글의 중국 검색사업 철수로 마무리될 것이라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중국 당국은 보도지침을 마련하는 등 ‘후유증’ 예방 조처를 강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글이 몇 주 안에 중국어 검색 사이트(google.cn)를 폐쇄할 것이며, 이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인터넷 시장에서 주요 외국기업 중 하나가 철수하는 이례적인 조치가 될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이 15일(현지시각) 전했다. 구글과 중국 당국이 벌여온 협상은 교착상태에 빠졌고, ‘검열 없는 검색 사이트’를 운영하겠다는 구글의 희망이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거의 사라졌다는 것이다. 리이중 중국 공업정보화부장은 최근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기자들에게 “구글이 중국에서 사업을 계속하려면 반드시 중국 법을 지켜야 한다”며 구글이 검열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는 강경한 자세를 굽히지 않았다.
중국 공산당 중앙선전부는 지난 12일 중국 언론들에 구글의 중국 철수 가능성과 관련된 보도를 중단하도록 지시했으며, 구글이 검색 사이트를 폐쇄할 경우 중국 당국의 공식 지침에 따라 보도하도록 지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중국 언론인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실제로 이번주 들어 중국의 주요 언론에서 ‘구글 퇴출’과 관련된 기사는 거의 사라졌다.
중국 당국이 이런 지침을 내린 것은 수천만명의 구글 사용자들을 비롯해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들이 구글 사태에 대해 당국과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검열을 고집하는 당국의 태도에 비판적이라는 점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신화통신>은 15일 구글이 중국의 인터넷 검열문제를 센세이셔널하게 이용하고 있다고 비난하는 사설을 실었다. “구글이 원한다면 중국에 남을 수 있지만 중국법을 준수해야 한다, 구글이 떠나도 지구가 멈추지 않으며 중국 인터넷 이용자들은 인터넷을 계속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는 내용이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