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타오
중국 선전 경제특구 지정 30주년
“용감하게 변혁하고, 용감히 혁신하고, 영원히 경직되지 말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은 6일 열린 ‘선전 경제특구 성립 30주년 경축대회’에서 정치개혁을 포함한 중국의 과감한 개혁 추진을 강조했다.
후 주석은 이날 광둥성 선전의 다쉐청(대학성)체육관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선전 경제특구는 전세계의 산업화·도시화·근대화의 역사에서 기적을 창조했으며, 중국의 개혁개방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고 지난 30년의 성과를 높이 평가했다. 아울러 선전이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노선을 따라 앞으로도 선구적으로 과감하게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연설에서 후 주석은 정치개혁의 청사진도 내놨다. 그는 “사회주의 정치제도를 완전하게 발전시켜, 인민이 주도권을 갖도록 보장하고, 당과 국가의 활력을 강화하고, 인민의 적극성을 발휘시켜야 한다”며 ‘사회주의적 민주’ 확대와 사회주의 법치국가 건설, 민주선거, 민주적 정책결정 등을 구체적으로 제안했다. “인민의 알권리, 참여권, 표현권, 감독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후 주석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정치발전 노선을 굳게 지켜야 한다”고 밝혀 중국의 정치개혁이 서구식 민주주의와는 다른 길을 갈 것임을 분명히 했다.
앞서 원자바오 총리는 지난달 20일부터 이틀간 선전을 방문해 “경제체제 개혁뿐 아니라 정치체제 개혁도 추진돼야 한다”며 “정치체제 개혁이 보장되지 않으면 경제개혁 성과를 다시 상실할 수 있으며 현대화 건설 목표도 실현되기 어렵다”며 과감한 정치개혁을 강조해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어 공산주의청년단이 펴내는 <중국청년보> 등이 원 총리의 발언을 “시대착오적이고 무책임한 발언”이라고 비판하면서 중국 지도부 내에 갈등이 있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하지만 원 총리에 이어 후 주석이 정치개혁을 강조함으로써, 중국 지도부가 ‘중국식 정치개혁’ 방향을 설정하고 추진해갈 것임을 시사했다.
1980년 8월26일 광둥성의 주하이·산터우, 푸젠성의 샤먼 등과 함께 중국 최초의 경제특구로 지정된 선전시는 ‘개혁개방 1번지’로 불리며 자본주의 경제실험을 시작해 지난 30년 동안 매년 평균 25.8%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구 지정 당시 인구 3만의 보잘것없는 어촌에서 출발한 선전은 인구 1400만명의 초현대식 국제도시로 변모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