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총리 “1명 즉시 석방” 요구
중국 정부가 일본과의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열도) 갈등’ 와중에 군사지역 불법촬영 혐의로 체포한 일본인 4명 중 3명을 30일 석방했다.
<신화통신>은 이들 일본인 가운데 3명은 군사관리구역 침입 행위를 인정하고 이를 반성한다는 내용의 서약서를 제출해 국가안전기관이 법률에 따라 이들을 석방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나머지 1명인 다카하시 사다는 법에 따른 심리를 받고 있다고 밝혀 정식 사법절차 단계로 넘어갔음을 시사했다.
간 나오토 일본 총리는 이에 대해 “즉각 남은 한명도 석방되어야 한다”고 중국에 요청했고, 마에하라 세이지 일본 외상도 “3명이 석방됐다는데, 아직 1명이 석방되지 않았다”며 “이번 사안에서 무슨 이유로 주거감시(구속) 됐는지 중국 쪽은 명확히 설명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일본 후지타건설 직원들인 이들 일본인 4명은 지난 21일 허베이성에서 붙잡혔으며, 후지타건설은 이들이 2차대전 당시 일본군이 중국에 버린 화학무기 회수사업 수주 준비차 현지를 답사하고 있었다고 해명했다.
중국이 일본인 3명을 석방한 것은 댜오위다오 분쟁을 둘러싼 중-일 갈등이 점진적 완화국면으로 접어든 신호로 해석된다. 하지만 완전한 관계 회복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은 댜오위다오에서 일본 순시선과 충돌한 혐의로 구속했던 중국인 선장 잔치슝을 지난 24일 석방했으나, 양국은 서로 사과와 배상을 요구하며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중국이 댜오위다오 해역에 어업지도선을 파견하면서 일본 순시선과의 대치도 계속되고 있다.
중국이 일본인 1명은 석방하지 않은 이유와 관련해 <마이니치신문>은 “일본이 중국 어선 선장을 석방한 뒤에도 마에하라 외상 등의 강경한 발언이 두드러진다”며 “양국 관계회복 쪽으로 움직이기 어려운 분위기가 있다”는 중국 외교 관계자의 말을 전했다. 이 신문은 “중국이 1명을 석방하지 않는 카드로 일본을 노골적으로 견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 양국의 움직임이 석방 전망에 그늘을 드리울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베이징 도쿄/박민희 정남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