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원 후빈 박사
사회과학원 후빈 박사
미국과 중국의 환율전쟁은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를 앞두고 확전과 절충의 기로에 서 있다. 중국 사회과학원 금융연구소는 환율전쟁의 정책적 논거를 창출하는 중국 내의 대표적인 두뇌집단이다.
지난달 26일 금융연구소에 만난 연구원들은 환율전쟁의 시발점인 미국 쪽의 위안화 절상 요구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다. 연구원들은 “미국이 자기 이익대로 중국에 화폐 평가절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공정하지 않다”고 말했다. 중국 사회과학원은 중국 정부의 주요 정책을 만드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하는 곳이며, 금융연구소에만 40여명의 박사급 연구원이 있다.
연구소의 후빈(사진) 박사는 “위안화 환율은 국제적 분업과정에서 정해진 것이다”라며 “더구나 중국은 거대한 인구와 낙후한 중서부지역이라는 내부적 문제도 있어 시급히 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양타오 박사는 “미국이 중국에 환율 문제를 제기하는 이유는 두 가지다”라며 “첫째는 중간선거 등 미국 국내 정치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고 둘째는 환율 문제를 중국과의 담판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양 박사는 “위안화가 절상되면 물가가 오른다. 이는 중국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쩡강 박사도 “중국이 환율을 일정 정도로 유지하는 대가로 중국 내 물가가 많이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연구소 연구원들은 중국 정부가 최근 5중전회에서 다시 한번 강조한 이른바 ‘그린 경제’에 대한 고민도 말했다. 후빈 박사는 “그린 경제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으며 전통적 공업발전과 모순이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그러나 저탄소 경제가 국제적 표준이라 장기적으로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후 박사는 “당분간 전면적 실시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가 정작 코펜하겐 기후회의 때 탄소 감축 노력에 소극적이지 않았느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중국이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불공정의 문제가 있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탄소 배출은 장기적 문제인데 서구는 100년 동안 배출해왔지만 중국은 몇십년밖에 안 된다”는 것이다.
베이징/글·사진 조기원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