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안 마련에 “국수주의” 비판도
중국 베이징시 당국이 건물 이름이나 호수에 알파벳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중국 정부가 신문과 책, 인터넷 사이트에 영어 약자 사용을 금하고 중국어 표기만 허용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이런 조처가 나오자 국수주의 논란이 일고 있다.
베이징시 품질기술감독국과 공안국은 건물이나 아파트의 이름과 호수에 외국 문자 표기를 허가하지 않고, 중국어와 아라비아 숫자만을 사용하도록 하는 ‘건축물 동 호수 표기와 작명에 관한 규범’ 초안을 마련해 시민들의 여론을 수렴중이라고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가 8일 보도했다. 이 규정이 채택되면 ‘A동’, ‘2B호’ 같은 표기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아울러 한자 문화권에서 4, 14 등 죽음을 연상하는 불길한 숫자로 인식해 동이나 층수에서 사용하지 않는 관행도 인정하지 않는다.
베이징시 당국의 이런 규범은 중국 출판간행물 정책을 총괄하는 신문출판총서가 지난해 말 외국어 단어 사용이 중국어의 순수성을 훼손할 수 있다며 인쇄물이나 온라인에서 GDP(국내총생산), WTO(세계무역기구) 등 영문 약자나 외래어 표기를 금지한다고 발표한 데 이어 나왔다.
중국 정부가 지난달 베이징의 심장부인 천안문(톈안먼) 광장에 9.5m 높이의 거대한 공자 동상을 세운 데 이어 외국어 사용 통제에 나선 것은 문화적 국수주의가 발호하고 있다는 증거이자 다원주의의 영향력을 차단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고 지식인들은 비판한다. 문화비평가인 주다커도 “최근 이데올로기 분야를 담당하는 중국 관리들이 점점 문화적 보수주의에 경도돼 서구 문화를 강하게 배척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한겨레 인기기사>
■ 대홍수의 전조…한반도에 ‘역행침식’이 진행되고 있다
■ 전셋값 뛰니 빚내서 집사라는 ‘황당한 정부’
■ 멸종위기 소형 고래, 새만금 방조제서 떼죽음…왜?
■ 신공항 어디로, 한나라 ‘밀양파-가덕도파’ 갈등
■ 곳곳 경찰 ‘살벌’ 졸업식 “학생이 범죄자냐”
■ ‘포세이돈도 반한 K5’ 기아의 미국 슈퍼볼광고
■ 원하는 만큼 언제든지 투약…‘몸속 약병’ 개발
■ 전셋값 뛰니 빚내서 집사라는 ‘황당한 정부’
■ 멸종위기 소형 고래, 새만금 방조제서 떼죽음…왜?
■ 신공항 어디로, 한나라 ‘밀양파-가덕도파’ 갈등
■ 곳곳 경찰 ‘살벌’ 졸업식 “학생이 범죄자냐”
■ ‘포세이돈도 반한 K5’ 기아의 미국 슈퍼볼광고
■ 원하는 만큼 언제든지 투약…‘몸속 약병’ 개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