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원자바오, 인플레 대처 위한 평가절상 내비쳐”
국외 위안화 본토 반입도 고려…국제시장 위상 강화
국외 위안화 본토 반입도 고려…국제시장 위상 강화
중국의 위안화 정책 선회가 본격화되는가? 달러에 맞서는 국제 기축통화를 향한 발걸음이 빨라지는 가운데 ‘강한 위안화’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발언도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21일 원자바오 중국 총리가 지난주 국무회의에서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사용하는 몇가지 대책 중 하나로 위안화 환율의 유연성 강화를 지적했다고 전했다. 즉 인플레 대처 수단으로 위안화 평가절상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그동안 미국이 중국에 대해 평가절상을 주문해온 근거다. 중국 관리들이 이런 주장을 말한 적은 있으나, 총리가 이 주장을 직접 한 것은 이례적이다.
당장 중국 당국의 점진적 절상 정책에 급격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이지는 않으나,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를 두고 “중국 당국의 통화정책에 대한 근본 인식이 바뀌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강한 위안화는 최근 위안화의 국제화 발걸음과 맞물려, 중국 당국의 통화정책 선회의 폭을 더 크게 하고 있다.
이 신문은 지난 20일엔 홍콩의 통화 관리들을 인용해 중국 중앙은행이 국외에서 조성된 위안화 자금들을 중국 본토로 반입하는 새로운 규정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동안 중국 당국은 환율 안정과 위안화 투기 방지를 위해 국외 조성 위안화를 선별적으로만 본토에 들여올 수 있도록 했다.
새 규정이 도입된다면 그동안 전세계 위안화 시장 조성을 억누르던 병목점이 해소되는 셈이다. 위안화를 달러 등 다른 기축통화로 환전하지 않고도 국외에서 채권 및 주식을 발행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중국 밖에서 위안화 사용이 늘어나 “국제금융시장에서 힘의 균형을 바꿀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은 해석했다. 지난달 31일 중국 난징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에서 중국은 국제통화기금 특별인출권의 통화바스켓에 위안화를 포함시킨다는 대략의 합의를 끌어냈다. 14일 열린 브릭스(BRICS) 제3차 정상회의에서는 5개국이 서로 돈을 빌려줄 때 달러가 아닌 자국 통화를 사용하기로 합의하기도 했다. 모두 달러 중심 체제에 대한 견제와 위안화 국제화를 염두에 둔 움직임이다. 원자바오 총리가 시사한 ‘강한 위안화’와 맞물릴 경우 위안화의 국제화 속도는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