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중국

최초 벼 재배지 논쟁…중국, 인도에 판정승

등록 2011-05-04 20:05

미 유전학자들 “창장지역서 시작”
인류가 최초로 벼를 재배한 곳은 중국이라는 최신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유전학자들이 최신 컴퓨터 알고리즘 등을 이용해 야생·재배종 벼 600종 이상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약 1만년 전 중국 창장(양쯔강) 유역에서 인류가 야생 상태의 벼를 처음으로 인공 재배하기 시작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와 <비비시>(BBC) 등이 4일 보도했다.

뉴욕대, 스탠퍼드대, 워싱턴대, 퍼듀대의 유전학 전문 과학자들이 미국 국립과학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해 이런 내용을 담은 ‘경작 재배용 벼의 단일 진화 기원에 대한 분자생물학 증거’ 논문은 미국 국립과학원 사이트에 2일 발표됐다.

인류 최초의 벼 경작지가 중국이냐, 인도냐를 둘러싸고는 길고 치열한 논쟁이 계속돼 왔다. 한 지역에서 재배가 시작됐는지, 여러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경작이 시작됐는지 두 가설도 팽팽히 대립해 왔다.

연구진들은 벼 유전자를 최신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짧고 끈끈한 자포니카종과 끈기가 없고 긴 인디카쌀의 유전적 특성이 비슷해 하나의 품종에서 기원했으며, 한 지역에서 경작이 시작됐다는 결론을 얻었다. 아울러 8200~1만3500년 전 처음으로 벼 재배가 시작됐으며, 3900년 전 두 품종으로 분리됐다고 분석했다. 이 시기에 벼 재배가 시작된 곳은 중국 저장성의 허무두 유적 등 창장 지역이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