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중국

중국 ‘고속철 추락’ 43명 사망·210명 부상

등록 2011-07-24 20:59수정 2011-07-24 22:52

벼락 맞고 다리 위 정차…10분 뒤 후행차가 들이받아
관리 ·3명 해임안전점검 지시…고속철 신뢰도 ‘흔들’
중국 1세대 고속열차인 둥처가 추돌로 인한 추락사고를 일으켜 적어도 43명이 사망하고 210여명이 다쳤다.

중국 <신화통신> 등은 23일 저녁 8시27분께 저장성 원저우 솽이 마을의 20m 높이의 고가다리 위에서 둥처간 추돌사고로 네 량의 객차가 다리 아래로 추락했다고 전했다. 사망자는 24일 현재 43명으로 집계됐으나 중상자가 많아 더 늘어날 수도 있다.

사고는 벼락에서 비롯됐지만 결국은 ‘인재’였다. 저장성 성도인 항저우에서 푸젠성 푸저우로 향하던 둥처 D3115호는 사고 직전에 벼락을 맞아 전력계통 고장으로 고가철교 위에 멈춰 서 있었다. 사고 소식을 미처 듣지 못한 베이징발 푸저우행 둥처 D301이 이 열차의 뒤를 들이받았고, 네 량의 차량이 다리 아래로 추락했다. 두 열차의 운행 간격은 10분이었다.

중국 당국은 장더장 부총리가 사고 현장에 24일 출동하고, 후진타오 주석과 원자바오 총리도 생존자 구출에 모든 지원을 다하겠다고 밝히는 등 사고 수습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상하이 고속철의 고위 관리 3명이 해임됐고, 고속철 안전에 대한 전면적 검토 지시도 나왔다. 하지만 <로이터> 통신은 ‘세계 제일’을 자랑하며 국제특허 취득에 나서는 등 세계 고속철 산업을 공략하고 있는 중국 고속철에 대한 신뢰도가 의문에 봉착했다고 전했다.

둥처는 최신 고속열차보다는 조금 느리지만 일반 열차보다는 훨씬 빠른 1세대 고속열차로, 베이징올림픽을 앞두고 2007년 개통됐다. 최고 시속 250㎞ 정도로 중국 주요 도시를 잇는다. 다른 기종이라곤 하나, 한달 전 베이징~상하이 구간에 개통된 징후 고속철이 잇따라 고장사고를 일으킨 데 이어 터진 이번 사고는 중국 고속철 미래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중국 고속철이 신칸센을 ‘베꼈다’고 주장해온 일본 언론들은 사고를 대서특필하며 “중국 정권이 큰 충격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