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물가 6.1% 오를듯…긴축정책 지속 강조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이번에도 6%를 넘을 것인가?
9일로 예정된 8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중국 연구기관들은 전년 동기 대비 6.1~6.2%의 상승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 37개월 만의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던 7월의 6.5%에 비해선 소폭 하락했지만, 물가 고공행진은 여전히 멈추지 않고 있다.
원자바오 중국 총리는 지난 1일 출판된 공산당 기관지 <구시(치우스)> 기고문을 통해 “물가안정이 중국 거시경제 정책의 최우선 임무”라며 긴축정책을 변함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원 총리가 한달여 만에 다시 물가 안정을 강조한 쪽으로 돌아선 것은 중국 인플레이션이 계속 심각한 상황임을 방증하는 것이다. 미국 신용등급 강등으로 전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치던 지난 8월9일 국무원 회의에서 원 총리는 물가 안정을 강조하지 않았고, 중국 정부가 성장 유지를 위해 긴축정책을 완화하는 쪽으로 정책을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었다.
이번 <구시> 기고에서 원 총리는 “물가가 과도하게 오르는 주요한 모순을 완화하는 데 더욱 주목해야 한다”면서 “우리는 올 하반기에 물가를 더 큰 폭으로 떨어뜨리는 것에 최선을 다해 내년 물가 통제의 기초를 마련해야 한다”며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을 절박하게 강조했다. 부동산 문제에 대해서도 원 총리는 “부동산 시장 통제와 관련해 매우 중요한 시기에 와 있다”며 “흔들림 없이 부동산 시장 통제정책이 반드시 실질적 효과를 내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올들어 1~7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평균 5.5%를 기록했다. 중국 정부의 물가 억제 목표 4%를 훨씬 웃도는 수치다. 특히 빈부격차가 극심한 중국 사회에서 저소득층의 생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돼지고기, 계란 등 식품 가격 급등은 사회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 이미 지난해 10월 이후 5차례 금리 인상, 부동산 구매에 대한 각종 제한, 은행 대출 통제 등 강력한 긴축정책을 잇따라 내놓았던 중국 정부는, 긴축의 고삐를 풀 경우 다시 급등세가 나타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