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고 부호인 량원건 산이그룹 회장
량원건 산이그룹 회장
공산당 지도부 임명설
“정경유착” 비판 나와
공산당 지도부 임명설
“정경유착” 비판 나와
중국 최고 부호인 량원건(55·사진) 싼이그룹 회장이 중국 차기 지도부의 일원이 된다는 소식이 정치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중국 공산당 조직부는 량 회장에 대한 인사 심사를 마쳤으며, 내년 가을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에서 그가 공산당 중앙위원 또는 중앙후보위원에 임명될 것이라고 광둥성 정부와 관련된 주간 <시대주보>가 최근 보도했다. 8000만 당원을 거느린 중국 공산당의 정점에 있는 중앙위원은 204명, 중앙후보위원은 167명이며 대부분 부부장(차관급) 이상의 직책을 맡고 있다. 량 회장은 후난성 부성장을 맡는 것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중국에서 공산당 중앙위원 또는 후보위원이 된 기업가는 모두 국유기업 경영진 출신이며, 량 회장이 이 자리에 오른다면 민영 기업가가 공산당과 정부 고위직에 진출하는 첫 사례가 된다.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개인 재산 700억위안(약 12조원)을 보유한 량 회장을 2011년 중국 최고 부호로 선정했다. 젊은 시절 후난성의 가난한 마을에서 대나무로 바구니를 짜서 팔았던 그는 1986년 작은 공장으로 시작한 싼이그룹을 중국 최고의 건축장비 회사로 키웠다. 세계에서 가장 비싼 고급승용차 가운데 하나로 통하는 마이바흐와 개인용 헬기를 타고 다니는 자본가지만, 2004년 공산당에 입당해 2007년 전국인민대표를 맡고 있다.
우파들은 량 회장의 정치지도자 진출이 중국 민영기업과 민영경제에 청신호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정 산업을 독점하고 정부의 금융·정책 지원을 받는 거대 국유기업들에 밀려 민영기업들이 고전하는 ‘국진민퇴’(국유기업의 전진과 민영기업의 쇠퇴) 상황에서, 민영기업에 힘을 실어주는 상징적 조처라는 것이다.
하지만 좌파들은 ‘정경유착’의 상징이자 공산당의 변절이라고 비난한다. 유명 좌파 사이트 ‘우유즈샹’은 “자본가의 공산당 입당 자체가 공산당의 타락” “일부가 뒤에서 조종해 중국 최고 부자를 중앙위원으로 만들려고 하는데 중국 공산당이 얼마나 지탱할 수 있는가?” 등의 비판 글로 뒤덮이고 있다. 중국 공산당은 2000년 장쩌민 전 주석이 제기한 ‘3개 대표론’을 채택해 농민·노동자·지식인뿐 아니라 자본가의 근본 이익도 대표해야 한다고 공식 선언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