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 환율개혁법안 상정예정
무역전쟁 불가피…신중론도
무역전쟁 불가피…신중론도
“미국 선거 경쟁이 고조되면서 위안화 환율이 또다시 표적이 됐다.”
미국 상원이 이번주 ‘위안화 환율 조작’ 제재 법안을 상정 처리하겠다고 나서자,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2일 밤 논평을 통해 이렇게 주장한 뒤 “위안화 환율 문제를 정치화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민주당의 찰스 슈머(뉴욕) 및 셰러드 브라운(오하이오), 공화당의 린지 그레이엄(사우스캐롤라이나) 등 상원의원들은 이번주 초 ‘공정무역을 위한 환율개혁법안’을 상원에 상정할 예정이다. 이 법안은 지난해 9월 하원 통과 뒤 상원에서 무산됐지만, 실업문제가 2012년 미국 선거의 핵심 쟁점인 상황에서 이번에 재상정되면 통과될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도 높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망했다.
선거를 앞둔 의원들이 경제난을 중국의 환율정책 탓으로 돌리려는 쪽으로 기울고 있기 때문이다. 슈머 의원은 31일 기자들에게 “상원을 통과하면 하원에서도 거부하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법안이 대통령의 책상에 오르게 될 것으로 낙관한다”고 자신만만하게 말했다.
법안은 위안화 저평가를 부당한 보조금으로 간주해 상계관세를 부과하고, 미국 기업과 노동조합이 상무부를 상대로 중국 등의 환율조작 의혹에 조사를 요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통과될 경우 중국과의 ‘무역전쟁’이 불가피한 내용이다. 미국 의원들은 중국이 위안화를 25~40% 절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대선을 앞둔 오바마 행정부는 법안에 대해 찬성도, 반대도 밝히지 않으며 여론의 눈치를 보고 있다.
미국 내에서도 법안의 실효성을 둘러싸고 찬반 양론이 격렬하다. 폴 크루그먼 프린스턴대 교수는 2일 <뉴욕타임스> 사설을 통해 “법안이 중국과의 무역전쟁을 일으킬 것이라며 반대하는 목소리에 대해 나는 미국 실업대란의 현실을 들어 대답하고 싶다”며 찬성의 뜻을 나타냈다. 하지만, 니컬러스 라디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 연구원은 <로이터>에 “위안화가 절상되면 일자리가 미국으로 돌아오는 게 아니라, 인도네시아나 베트남, 방글라데시 등으로 가게 될 것”이라며 법안에 반대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