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동부전선 호국훈련 = 5일 강원도 인제군 소양호 상류에서 실시된 호국훈련에서 육군 3군단 장병들이 문교에 병력과 전투장비를 싣고 소양호를 건너 가상의 진지로 이동하고 있다. 인제/연합뉴스
미군 ‘7일 버티는 약’ 발명도
중국 인민해방군이 작전 수행 때 3일 내내 잠을 자지 않고 버틸 수 있는 약을 개발했다.
인민해방군 산하 군사의학연구 기관인 군사과학의학원은 ‘밤 독수리’라는 이름의 푸른 색 알약을 개발했으며, 한 알을 복용하면 72시간 동안 잠을 자지 않고 휴식을 취하지 않고도 정상적인 사고와 체력을 유지하면서 작전을 수행하게 하는 약품이라고 <중국중앙텔레비전(CCTV)>가 15일 보도했다. <중국중앙텔레비전>은 이날 군사과학의학원 60주년 성과전에서 공개된 600여 종의 신기술과 장비 등을 보도하면서, ‘밤 독수리’에 대해 소개했다.
군사의학과학원 왕린 연구원은 “밤 독수리는 지진과 홍수 등의 상황에서 재난구호 활동을 하거나 군대 특수임무를 수행할 때 장시간 수면을 취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정상적인 판단과 인지 능력을 유지해야 할 때 사용한다”고 말했다. 개발자들은 약의 성분이나 작용 방법, 부작용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각국 군대들은 ‘잠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으며, 부작용을 줄이면서 오래 깨어있도록 하는 약을 개발하는 경쟁도 계속되고 있다.
군사전문가인 니러슝 상하이정법대 교수는 “전투 상황에서 잠을 통제하려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아군이 적군보다 오랫동안 잠을 안자고 버틸 수 있느냐는 전투 상황에서 큰 차이가 된다”고 말했다.
약물을 사용해 병사들을 깨어있게 하려는 시도는 2차대전 당시 본격화됐다. 1938년 독일 제약회사가 개발한 마약 성분의 암페타민은 독일의 폴란드 침공 당시 처음 사용됐다. 독일군은 병사들이 암페타민을 한번에 2알씩 하루 두 번 복용해 24시간 동안 각성 기능 유지하도록 했으나, 병사들이 사망하는 등 심각한 부작용들이 발생했다.
현재 서방에서 널리 쓰이는 군사용 각성제는 모다피닐인데, 원래는 기면증 치료제로 개발됐으나 미국과 프랑스, 영국, 인도 군대에서 암페타민의 대용품으로 쓰이고 있다. 2000년대 초에 미군은 병사들이 7일 동안 잠자지 않고 버틸 수 있게 하는 약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보도했다.
중국 인터넷에서는 군사과학의학원이 개발한 ‘밤 독수리’에 대해 뜨거운 관심 속에서 논란도 벌어지고 있다.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다. 네티즌들은 ‘이렇게 장시간 잠을 자지 않으면 인체에 해가 없을 수 있겠느냐?’ ‘발명자들은 스스로 사용해 보았나?’ ‘잔인한 약이다’ 등의 의견을 내놓고 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육군 특수전사령부 ‘2009 Top-Team’이 17일 오전 서울 송파구 제3공수특전여단에서 전술훈련을 하고 있다. 올해로 다섯번째로 선발된 탑 팀은 3공수특전여단 11대대 15중대로 특전체력, 전투사격, 전술적 상황 조치 등 종합평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연합뉴스)
중국 인터넷에서는 군사과학의학원이 개발한 ‘밤 독수리’에 대해 뜨거운 관심 속에서 논란도 벌어지고 있다.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다. 네티즌들은 ‘이렇게 장시간 잠을 자지 않으면 인체에 해가 없을 수 있겠느냐?’ ‘발명자들은 스스로 사용해 보았나?’ ‘잔인한 약이다’ 등의 의견을 내놓고 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