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머 발원지’로 인터넷 지목
16개 사이트 폐쇄·6명 체포
16개 사이트 폐쇄·6명 체포
중국 정부가 내란설 등 루머에 대한 대대적 단속에 나서, 주요 유통지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서비스에 대한 일시적 이용 제한 조처 등을 취하고 있다. 중국에서 웨이보 등 에스엔에스 서비스 출범 이후 2년 만에 가장 강력한 검열 조처로, 보시라이 전 충칭 당서기 해임 이후 중국 권력층 내에서의 긴장이 계속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에스엔에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기업인 시나와 텐센트는 지난 31일 자신들의 웹사이트에 공지를 내고 오는 3일 오전 8시까지 이용자들이 다른 이용자들의 게시물에 댓글을 달 수 없다고 밝혔다. 지나는 공지에서 “웨이보의 댓글 중에서 수많은 유해 불법정보가 있었다”며, 이로 인해 “집중적인 정화가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시나는 이용자가 3억명이 넘는 웨이보를 운영하고 있다.
관영 <신화통신>도 베이징의 시나와 선전의 텐센트가 루머를 양산하도록 허락해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해당 지역 인터넷정보당국이 제재를 가하는 중이라고 보도했다. 통신은 또 다른 기사에서 “온라인 루머를 조작하거나 퍼뜨린” 혐의로 16개 웹사이트가 폐쇄되고 6명이 체포됐다고 보도했다. 특히 통신은 중국 정부의 인터넷정보부 대변인을 인용해 이들 웹사이트들이 군용 차량들이 베이징에 진입하는 등 베이징에서 잘못된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는 루머를 퍼뜨린 혐의로 폐쇄됐다고 지적했다. 지난 3월15일 보시라이 충칭 당서기의 해임 이후 중국 안팎에서는 베이징에 내란 움직임이 있다는 루머가 퍼진 바 있다.
베이징 경찰도 지난 2월 중순부터 전국적으로 인터넷 관련 범죄를 집중적으로 단속하는 과정에서 1065명을 체포하고 20만8천건의 온라인 ‘유해’ 메시지를 삭제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보도했다. 베이징 경찰 내 사이버보안부 대변인은 31일 이같이 밝히고 아울러 3117개 웹사이트 운영자가 관련 경고 조처를 받았고 경고 조처를 무시한 70개 인터넷회사는 강제 폐쇄 등의 행정 제재를 받았다고 말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하태경 후보 “독도는 국제분쟁지역으로 공인” 망언
■ ‘WH’, 닉슨 하야시킨 두 글자…‘BH’의 결말은?
■ 민주 “이대통령 하야 논의할 시점”
■ 충성도로 띄운 낙하산…‘방송장악’ 치밀했다
■ 전모 드러난 불법사찰…MB, 해명해 보시죠
■ 하태경 후보 “독도는 국제분쟁지역으로 공인” 망언
■ ‘WH’, 닉슨 하야시킨 두 글자…‘BH’의 결말은?
■ 민주 “이대통령 하야 논의할 시점”
■ 충성도로 띄운 낙하산…‘방송장악’ 치밀했다
■ 전모 드러난 불법사찰…MB, 해명해 보시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