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7개월 상태에서 강제 낙태를 당한 펑젠메이가 지난 4일 숨진 태아와 함께 누워 있는 모습을 가족들이 찍어 중국 인터넷에 올렸다. 웨이보 갈무리
중 ‘한자녀 정책’ 강제낙태 파문
남편 인터넷에 당시 정황 폭로
가족이 사망한 태아 사진 올려
남편 인터넷에 당시 정황 폭로
가족이 사망한 태아 사진 올려
중국 산시성 안캉시 쩡자진의 농민 펑젠메이(22)는 오는 8월 출산을 앞둔 예비엄마였다.
지난 2일 그는 임신 7개월이 넘은 상태에서 지방정부 관리 수십명에게 강제로 끌려 병원으로 갔고 “억지로 낙태 주사를 맞았다”. 6월4일 새벽 숨이 끊어진 딸아이가 그의 몸에서 나왔다.
‘임신 7개월 강제낙태’ 사건(<한겨레> 14일치 15면)을 둘러싼 구체적 정황이 계속 드러나면서 ‘한자녀 정책’(계획생육)의 비인간성을 비난하는 여론이 중국에서 확산되고 있다.
펑젠메이의 남편 덩지위안은 인터넷에 벌금 4만위안(약 730만원)을 내지 못하자 관리들이 아내의 머리에 검은 옷을 뒤집어 씌운 채 납치해 강제로 아이를 죽이는 주사를 놓았다고 폭로했다. 펑젠메이 부부는 이미 5살 난 딸이 있으며, 지방정부 관리들은 이들 부부가 규정을 어기고 둘째를 임신했다며 올해 초부터 벌금을 요구해왔다.
덩지위안은 <차이신> <중국라디오방송> 등과 한 인터뷰에서 “아내가 수술에 동의하지 않자 여러명이 강제로 아내의 왼손 손가락을 서류에 눌러 직인을 찍게 했다. 가족들이 병원에 들어가지도 못하게 막았다”고 말했다. 당시 덩은 일 때문에 외지에 있었고, 관리 4명이 사흘간 펑젠메이를 가두고 감시하다가 병원으로 끌고 갔다.
펑의 가족들은 안캉시 정부에 공식 청원을 했으나 아무런 조처가 없는 데 항의해, 지난 11일 숨이 끊어진 태아 곁에서 망연자실해하고 있는 펑의 사진과 사연을 인터넷에 올렸다. 파문이 커지자 쩡자진 관리들은 “오랜 사상공작과 설득 끝에 동의를 받아 낙태를 시켰다” “당시에는 임신 6개월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펑의 가족들은 당시 펑이 임신 7개월이 넘었다는 진료 기록이 있다고 반박하면서, 관리들이 보낸 ‘4만위안 중 한푼도 덜 내면 안 된다’는 문자메시지를 공개했다.
중국은 인구 증가 억제를 목표로 1970년대 말 ‘한자녀 정책’을 도입했다. 베이징 등 도시에선 이 정책의 완화 움직임이 있지만 지방에선 임신 8~9개월의 임신부가 강제로 낙태를 당하고 이 과정에서 목숨을 잃는 사건이 종종 발생한다. 시각장애인 변호사 천광청은 산둥성에서 수천명이 강제낙태와 불임수술 등을 당한 사례를 폭로했었다. 특히 ‘사회부양비’로 불리는 한자녀 정책 위반 벌금이 매년 200억위안이 넘지만, 이 돈이 어디에 쓰이는지는 공개되지 않는다고 <명보>는 보도했다. 상당부분이 지방정부 관리들의 돈벌이 수단이 되고 있다는 비판이 많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임기말 MB 권력형 비리 조사 ‘3관왕’ 오르나
■ 노숙소녀 살인 노숙자 ‘억울한 옥살이’
■ 귀막은 김재철 사장…문화방송, 파업 해법이 안보인다
■ 아내가 납치됐다, 주사를 맞았다, 아이가 죽었다
■ 홈쇼핑 인기상품 1위 ‘끝판왕’은?
■ 임기말 MB 권력형 비리 조사 ‘3관왕’ 오르나
■ 노숙소녀 살인 노숙자 ‘억울한 옥살이’
■ 귀막은 김재철 사장…문화방송, 파업 해법이 안보인다
■ 아내가 납치됐다, 주사를 맞았다, 아이가 죽었다
■ 홈쇼핑 인기상품 1위 ‘끝판왕’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