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부교체앞 ‘남방주말’ 통제 강화
신장·티베트 등 13개분야 취재막아
신장·티베트 등 13개분야 취재막아
지도부 교체를 앞둔 중국 당국이 비판적 언론에 대한 통제를 계속 강화하고 있다.
중국 진보언론의 상징으로 꼽혀온 <남방주말> 등 남방신문언론그룹(남방그룹) 산하 신문·잡지들에 대해 당국이 ‘재갈 물리기’를 하고 있다고 홍콩 <명보>가 22일 보도했다. 지금까지는 내부 언론인 출신이 이 신문사의 1인자인 당서기를 맡아 왔으나, 올해 5월에는 양젠 전 광둥성 선전부 부부장이 ‘낙하산 인사’로 임명됐다. 이후 남방그룹 산하 언론에 대한 내부 검열이 크게 강화됐다. <남방인물주간>은 올 봄 미얀마 야당지도자 아웅산 수치 인터뷰와 1959~1961년 대약진 시기 대기근의 진상을 보도한 뒤 비판을 받았다. 최근에는 정부가 이 신문사에 13개 취재 금지 분야를 명시한 정식 문건을 내려보냈다. 정부의 정책에 위반되는 의제, 집회·결사·시위 선동 보도, 신장·티베트 분리주의 등이 보도 금지 대상이다.
이달 초 쓰촨성 스팡시에서 주민들이 대규모 화학공장 건설 반대 시위에 나서 전국적인 관심사가 됐지만, 남방그룹 산하 매체들은 이를 보도하지 못했고, 대신 선저우 9호의 우주도킹 뉴스가 연일 톱뉴스로 실렸다.
1990년대 말 설립된 남방그룹 산하 언론들은 중국 정부의 통제 속에서도 중국 사회의 문제들을 파헤치는 과감한 보도로 중국 사회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2003년 농민공 쑨즈강이 신분증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는 이유로 수용소에 끌려간 뒤 구타당해 숨진 ‘쑨즈강 사건’을 폭로해 ‘유랑인 수용제도’를 폐지시켰다. 2009년 중국을 방문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당시 <인민일보> 등을 제쳐두고 <남방주말>과 단독 인터뷰를 했으나, 중국 당국은 이 기사를 1면과 인터넷에 올리지 못하게 해 검열 논란이 일었으며, 인터뷰를 했던 주필은 이후 인사에서 밀려났다.
베이징외국어대학의 잔장 교수는 새 지도부가 등장하는 18차 당대회와 보시라이 사건 등이 얽히면서 “국가의 정치에 절대 복종하는 것이 올해 중국 언론의 좌우명이 됐다”고 말했다. 지난 16일에는 광저우의 일간지 <신쾌보> 편집장이 교체되고 국내뉴스와 사설 면이 폐지됐다. 중국 당국은 23일 원저우 고속철 참사 1주기를 앞두고 관련 취재를 막는 등 보도 통제에 나섰다고 국제기자연맹(IFJ)이 최근 밝혔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minggu@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통영 실종 초등생 엿새만에 숨진채 발견…40대 피의자 검거
■ “주민번호 1만원에…” 아이돌 개인정보 거래 ‘발칵’
■ 여름에 몹쓸 새 전투복 ‘땀 배출·통풍’ 꽝
■ 소총 260발, 몸속 폭발 작살포…고래사냥 잔혹사
■ [화보] 누가 이 아이들 옷을 벗겼나
■ 통영 실종 초등생 엿새만에 숨진채 발견…40대 피의자 검거
■ “주민번호 1만원에…” 아이돌 개인정보 거래 ‘발칵’
■ 여름에 몹쓸 새 전투복 ‘땀 배출·통풍’ 꽝
■ 소총 260발, 몸속 폭발 작살포…고래사냥 잔혹사
■ [화보] 누가 이 아이들 옷을 벗겼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