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중국인이 발견 이름지어”
역사적 근거 들며 조목조목 반박
“미-일 상호방위조약 적용도 불가”
공식입장 내고 ‘노골적 불만’ 전달
역사적 근거 들며 조목조목 반박
“미-일 상호방위조약 적용도 불가”
공식입장 내고 ‘노골적 불만’ 전달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가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일본 고유 영토라고 거듭 주장하자, 중국 정부가 이를 강하게 규탄하고 나섰다. 주말 동안 중국 곳곳에서 반일시위가 이어졌다.
중국 정부는 노다 일본 총리의 지난 24일 센카쿠열도 주권 수호 주장에 대해 “일본 지도자가 공개적으로 중국의 영토주권을 손상시키는 발언을 한 데 대해 강한 불만을 밝힌다”며 이례적으로 역사적 근거를 조목조목 들면서 비판했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5일 “댜오위다오와 그 부속 도서는 중국인이 처음 발견한 뒤 이름을 짓고 사용해온 중국 고유의 영토”라며 일본의 주장을 반박했다. 훙 대변인은 “역사적으로 따져보면 명조 시대인 1403년 출간된 <순풍상송>에 이미 댜오위다오의 옛 이름인 ‘댜오쉬’ 등의 명칭이 등장한다”며, 댜오위다오가 적어도 명조(1368~1644년) 때 이미 중국의 해상방어지역 안에 있었다는 증거라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이 1895년 청일전쟁 시기가 되어서야 댜오위다오의 주권을 주장하면서 불법적 수단으로 강점했지만, 일본의 고유 영토라는 주장은 성립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훙 대변인은 제2차 세계대전 종전 뒤 나온 카이로 선언과 포츠담 회담에 따르면 패전국인 일본은 불법점유한 영토를 반환하게 돼 있기 때문에 댜오위다오 등은 마땅히 반환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국제적 합의를 무시하고 미국과 일본이 1951년 샌프란시스코 조약을 체결하면서 댜오위다오를 반환하지 않았고, 1971년에는 미국이 일본에 댜오위다오 관할권을 넘긴 것은 “중국 영토를 가지고 은밀히 거래한 것”이라며 “완전한 불법”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는 아울러 미국에 대해서도 센카쿠열도가 미-일 상호방위조약의 적용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공식 입장을 전달했다. 미국을 방문중인 차이잉팅 중국 인민해방군 제1부총참모장은 24일 미국 군부와 정부 고위 당국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댜오위다오가 미-일 상호방위조약의 적용을 받는 것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하게 밝혔다고 <신화통신>이 25일 보도했다. 그는 중국의 반대에 대해 미국 정부 당국자들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는 미국과 일본이 미-일 상호방위조약 개정 작업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댜오위다오 영유권 문제에 대한 중국 정부의 방침을 강조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일본이 중국의 해군력 증강을 문제 삼아 오키나와와 남중국해 난사군도 일대에서 미-일 양국군의 기동성과 준비태세 공조 강화 등을 지침 개정에 포함시키려 하는 데 대한 반대의 뜻을 명확히 밝힌 것이다.
주말 동안 중국 내 6개 도시에서 반일시위가 벌어졌다. 26일 저장성 주지에서 1000여명의 시위대가 중국의 댜오위다오 주권을 주장하며 시위에 나선 것을 비롯해, 하이난성 하이커우, 광둥성 둥관, 산시성 양취안, 안후이 화이베이 등에서 각각 수백명이 반일시위에 참가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전날에는 산둥성 르자오시에서 1000여명이 노다 일본 총리의 발언을 규탄하면서 ‘일본 상품을 사지 말자’고 주장하고, 일식당의 유리창을 깨기도 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안철수 길가는 여자 쳐다봐” ‘나쁜남자 놀이’ 인기
■ ‘매미급 태풍’ 볼라벤 27일 새벽 제주도 진입
■ “정보경찰들 사이에 안철수 ‘룸살롱’ 소문 돌아”
■ “키, 키”…스완지 팬, 기성용 연호
■ “감독에게 차라리 날 포기하고 버리라고 했죠”
■ 삼성전자, 창사이래 최대위기
■ [화보] 돌아온 ‘탱고 여신’ 김연아, 명품 연기 그대로
■ “안철수 길가는 여자 쳐다봐” ‘나쁜남자 놀이’ 인기
■ ‘매미급 태풍’ 볼라벤 27일 새벽 제주도 진입
■ “정보경찰들 사이에 안철수 ‘룸살롱’ 소문 돌아”
■ “키, 키”…스완지 팬, 기성용 연호
■ “감독에게 차라리 날 포기하고 버리라고 했죠”
■ 삼성전자, 창사이래 최대위기
■ [화보] 돌아온 ‘탱고 여신’ 김연아, 명품 연기 그대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