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국 치열한 입장속 북의 ‘전략적 결단’만 남은 상태
제4차 6자회담이 4일로 열흘째로 접어든 가운데 중국이 낸 공동문건 4차 수정안을 놓고 막바지 조율이 계속되고 있다.
6개국 대표단은 이날 회담장인 베이징 댜오위타이에 들락날락하며 접점을 모색했지만 오후 3시(현지시간) 현재 타결 조짐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의장국으로서 오전에 다른 5개국과 일일이 접촉한 중국에 이어, 오후에 미국, 북한, 러시아와 양자회동을 갖고 이견 절충을 벌인 남한의 움직임이 눈에 띄었다.
이날 아침을 맞이한 대부분 대표단의 표정은 그다지 밝지 않았다.
한, 미 등 4개국이 3일 중국의 4차 수정안을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의장국인 중국에 전했지만 북한으로부터는 받아들이겠다는 답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국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이날 오전 6시45분 숙소인 국제구락부를 나서며 "북한이 중국의 초안에 대해 빨리 결심해서 대답해야 할 것"이라며 북한의 신속한 결단을 촉구했다.
송민순 외교통상부 차관보도 오전 9시 10분께 숙소를 떠나면서 "오늘도 마이크를 쓰지 않는 협상이 계속될 것"이라며 양자접촉이 중심이 될 것임을 시사했다.
각국 수석대표들은 의장인 우다웨이 중국 외교부 부부장의 호출을 받고 이날 오전 댜오위타이에 속속 집결, 우 부부장을 차례로 만났다.
송 차관보는 중국과 미국, 북한, 러시아 대표와 각각 접촉했다. 김계관 외무성 부상과 가진 30분 가량의 남북 양자협의를 통해서는 북한의 진의를 직접 파악하고 미국 등 다른 국가의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 남북접촉은 북한측 요청으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우리 대표단의 주도적 역할이 막판에도 빛을 발하는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낳기도 했다. 양자접촉의 내용은 일절 공개되지 않고 있지만, 회담 전부터 `원초적 쟁점'이었고 회담 기간에도 갑론을박했던 핵포기의 범위가 쟁점이라는 게 대체적 견해다. 미국은 포기 대상으로 `핵과 핵 관련 계획'을, 북한은 `핵무기와 핵무기 관련 계획'을 고집하면서 맞서고 있다는 분석인 것이다. 다만 평화적 핵 활동은 향후 핵포기 과정을 거쳐 핵무기비확산조약(NPT)에 재가입할 경우 허용될 수 있다는 2단계 접근법으로 북한을 설득 중인 것으로 보인다. 힐 차관보도 3일 밤 중국과 접촉을 마친 뒤 "(북한이) 근본적인 이슈에 대해 얘기하고 싶어하는 것 같다"고 설명, 이런 관측을 뒷받침했다. 문제는 미국이 4차 수정안이 최종안이 되기를 강하게 희망하면서 조금도 물러설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베이징-평양 항공편이 있는 토요일이 다가오면서 이제는 하루 정도의 여유 밖에 없다는 위기 의식도 팽배해지고 있다. 이 가운데 지난 달 30일 본국으로 향했던 알렉산드르 알렉세예프 러시아 외무차관이 이날 베이징에 돌아오면서 혹시 합의문에서 사인을 하러 온 것이 아니냐는 희망 섞인 관측이 돌기도 했다. 이날 북한 대사관 앞에는 전 날에 이어 취재진이 진을 치면서 북한의 입장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 밖에 없는 상황을 그대로 보여줬다. (베이징=연합뉴스)
송 차관보는 중국과 미국, 북한, 러시아 대표와 각각 접촉했다. 김계관 외무성 부상과 가진 30분 가량의 남북 양자협의를 통해서는 북한의 진의를 직접 파악하고 미국 등 다른 국가의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 남북접촉은 북한측 요청으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우리 대표단의 주도적 역할이 막판에도 빛을 발하는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낳기도 했다. 양자접촉의 내용은 일절 공개되지 않고 있지만, 회담 전부터 `원초적 쟁점'이었고 회담 기간에도 갑론을박했던 핵포기의 범위가 쟁점이라는 게 대체적 견해다. 미국은 포기 대상으로 `핵과 핵 관련 계획'을, 북한은 `핵무기와 핵무기 관련 계획'을 고집하면서 맞서고 있다는 분석인 것이다. 다만 평화적 핵 활동은 향후 핵포기 과정을 거쳐 핵무기비확산조약(NPT)에 재가입할 경우 허용될 수 있다는 2단계 접근법으로 북한을 설득 중인 것으로 보인다. 힐 차관보도 3일 밤 중국과 접촉을 마친 뒤 "(북한이) 근본적인 이슈에 대해 얘기하고 싶어하는 것 같다"고 설명, 이런 관측을 뒷받침했다. 문제는 미국이 4차 수정안이 최종안이 되기를 강하게 희망하면서 조금도 물러설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베이징-평양 항공편이 있는 토요일이 다가오면서 이제는 하루 정도의 여유 밖에 없다는 위기 의식도 팽배해지고 있다. 이 가운데 지난 달 30일 본국으로 향했던 알렉산드르 알렉세예프 러시아 외무차관이 이날 베이징에 돌아오면서 혹시 합의문에서 사인을 하러 온 것이 아니냐는 희망 섞인 관측이 돌기도 했다. 이날 북한 대사관 앞에는 전 날에 이어 취재진이 진을 치면서 북한의 입장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 밖에 없는 상황을 그대로 보여줬다. (베이징=연합뉴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