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고향’ 정딩현을 가다
국방부장 비서로 군부인맥 쌓은 뒤
29살 정딩현 부서기로 시장개혁 실험
홍루몽 세트장 유치성공으로 각광
원로 배려·포용력, 정치적 성공 바탕 푸젠·저장·상하이 근무로 업적쌓아
경제·금융개혁 적극적 기대 많아 ‘시진핑호’가 중국 공산당 18차 당대회에서 닻을 올리고 있다. 18차 당대회 주석단은 10일 전체회의를 열고 18차 중앙위원과 후보위원 370여명을 선정할 후보 명단을 확정했으며, 여기서 뽑힌 중앙위원들이 15일 18기 1중전회에서 상무위원을 선출하는 형식으로 새 지도부가 확정돼 공개된다. 5세대 지도부가 이끌 향후 10년간 중국의 정책과 방향을 예측할 단서를 찾기 위해 시진핑 리더십의 성격, 정치적 인맥 등을 탐구한다. 30년 전, 29살의 젊은 관리 한명이 중국 수도 베이징에서 서남쪽으로 약 300㎞ 떨어진 허베이성의 농촌 지역 정딩현의 부서기로 도착했다.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개혁개방이 꿈틀대던 1982년 다들 대도시를 향해 몰려들던 물결을 거슬러 그는 시골의 기층에서 정치 생애의 초석을 놓기 시작했다. 30년 뒤, 그는 중국의 최고 지도자가 되었다. 중국 공산당 18차 당대회에서 총서기 등극을 앞두고 있는 시진핑(59)이다. 얼마 전 찾아간 정딩에는 아직도 시진핑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었다. 시진핑이 이곳의 서기로 일하던 시절, 생산대대 대장으로서 시진핑과 자주 만나곤 했다는 샤오아무개(67)는 “시진핑은 젊지만 인격이 훌륭한 지도자였다”고 회상했다. “아버지가 고관이었지만 자만하거나 잘난 체하는 일이 없었고, 현 위원회 근처 소박한 집에서 일반 주민들과 어울려 살았다. 몇년 전에는 부인 펑리위안도 함께 정딩을 방문해 주민들 앞에서 무료로 공연을 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개혁개방이 막 시작된 시기에 시진핑이 낙후된 농촌이었던 정딩을 발전시키려 관광지인 룽궈푸를 개발하는 등 많은 노력을 했다”고 평가했다. 정딩현 중심에 있는 룽궈푸는 시진핑이 이곳에 남긴 대표적 ‘업적’이다. 당시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이 중국 고전소설 <홍루몽>을 드라마로 만든다는 소식을 듣고, 시진핑은 촬영 세트장을 이 시골지역에 ‘유치’했다. 촬영 뒤 이 시설은 관광지로 개방됐고, 드라마가 유명해지면서 한때 전국적으로 관광산업 육성의 모범으로 각광을 받았다. 시진핑도 유능한 젊은 관료로 주목받았다. 정딩은 시진핑의 정치적 야심과 리더십이 싹을 틔운 곳이다.
시진핑은 1979년 칭화대를 졸업하자마자, 아버지 시중쉰의 인맥을 통해 군부 실력자였던 겅뱌오 국방부장의 비서로 근무하면서 군부 인맥을 쌓았다. 이 경험을 통해 시진핑은 장쩌민도, 후진타오도 갖지 못한 군부 경력을 가지게 되었다. 이 무렵 그는 아버지의 측근이던 전 주영대사 커화의 딸인 커링링과 결혼했다가 이혼했다. 아내가 영국 이민을 원했지만, 시진핑은 중국에 남고자 한 것이 이혼 사유로 알려져 있다. 이후, 시진핑은 정치적으로 크게 성장하려면 ‘기층’으로 내려가야 한다고 판단했고, 아버지의 조언을 받아 정딩을 첫 근무지로 선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딩에서 3년 동안 시진핑은 과감한 시장주의적 개혁을 추진했다. 곡창지대인 정딩에 할당된 의무생산량을 4분의 1로 줄여 주민들이 상품작물이나 가축을 더 많이 길러 소득을 높이게 했다. 농업사절단을 이끌고 처음으로 미국 아이오와의 농촌을 방문하기도 했다. 주민 자아무개(70)는 “시진핑이 처음 왔을 때 이곳은 낙후된 농촌이었지만, 이후 관광업과 산업도 발전하기 시작해 변화가 많이 생겼다”고 말했다.
새파랗게 젊은 29살 당서기의 ‘낙하산 부임’에 대한 지역 간부들의 반발을 줄이기 위해 시진핑은 원로들을 깍듯이 예우했다. 현정부 건물의 대회의실을 비워 원로 간부들의 오락활동실로 개방하기도 했다. 초록색 군용 코트를 입고 농촌지역을 밤낮으로 돌아다니며 주민들의 의견을 들었다. 이런 포용적인 자세는 그가 정글 같은 중국의 정치권에서 무사히 최고 자리까지 오르게 된 중요한 비결이 됐다.
시진핑은 다른 지역으로 부임한 뒤에도 4차례 정딩을 다시 방문해 ‘정치적 고향’에 대한 애정을 보였다. 그는 2005년 정딩을 시찰하면서 “정딩은 내가 자주 그리워하는 곳이다. 나는 이곳에서 어떤 지도자가 되어야 하는지를 배웠다”고 말하기도 했다.
정딩에 이어 시진핑은 푸젠성에서 18년, 저장성에서 3년 반, 상하이에서 6개월 동안 근무하며, 정치적 내공을 쌓았다. 이 세 곳은 모두 중국 개혁개방의 중심지이자 경제가 발달한 지역이어서, 비교적 쉽게 업적을 쌓을 수 있었던 셈이다. 아버지와 그 인맥들의 도움으로 시진핑은 ‘후계자’ 경력을 쌓으며, 성공이 보장된 사다리를 부지런히 올라왔다. 특히 민영기업이 발달한 연해 선진지역에서 오래 근무한 그의 이력 때문에 시진핑의 경제정책이 국유기업 개혁과 민영기업 지원, 금융개혁에 적극적일 것이라 기대하는 시각도 많다.
정딩현(허베이)/글·사진 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겨울 탕거리 지존, 생태탕 아닌 ‘대구탕’ 된 사연은…
■ ‘4대강이 물난리 막았다?’ MB, 태국서 낯뜨거운 자화자찬
■ 박근혜-김종인 ‘결별수순’ 밟나
■ MBC ‘뉴스’ 또 방송사고…한달새 3번씩이나
■ 트위터에서 친박 성향 글이 60% 이상인 까닭
■ 특검, 청와대 ‘버티기’에 강수…‘수사기간 연장’ 변수 될까
■ <강남스타일>에서 절간 스님까지 커피 열풍
29살 정딩현 부서기로 시장개혁 실험
홍루몽 세트장 유치성공으로 각광
원로 배려·포용력, 정치적 성공 바탕 푸젠·저장·상하이 근무로 업적쌓아
경제·금융개혁 적극적 기대 많아 ‘시진핑호’가 중국 공산당 18차 당대회에서 닻을 올리고 있다. 18차 당대회 주석단은 10일 전체회의를 열고 18차 중앙위원과 후보위원 370여명을 선정할 후보 명단을 확정했으며, 여기서 뽑힌 중앙위원들이 15일 18기 1중전회에서 상무위원을 선출하는 형식으로 새 지도부가 확정돼 공개된다. 5세대 지도부가 이끌 향후 10년간 중국의 정책과 방향을 예측할 단서를 찾기 위해 시진핑 리더십의 성격, 정치적 인맥 등을 탐구한다. 30년 전, 29살의 젊은 관리 한명이 중국 수도 베이징에서 서남쪽으로 약 300㎞ 떨어진 허베이성의 농촌 지역 정딩현의 부서기로 도착했다.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개혁개방이 꿈틀대던 1982년 다들 대도시를 향해 몰려들던 물결을 거슬러 그는 시골의 기층에서 정치 생애의 초석을 놓기 시작했다. 30년 뒤, 그는 중국의 최고 지도자가 되었다. 중국 공산당 18차 당대회에서 총서기 등극을 앞두고 있는 시진핑(59)이다. 얼마 전 찾아간 정딩에는 아직도 시진핑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었다. 시진핑이 이곳의 서기로 일하던 시절, 생산대대 대장으로서 시진핑과 자주 만나곤 했다는 샤오아무개(67)는 “시진핑은 젊지만 인격이 훌륭한 지도자였다”고 회상했다. “아버지가 고관이었지만 자만하거나 잘난 체하는 일이 없었고, 현 위원회 근처 소박한 집에서 일반 주민들과 어울려 살았다. 몇년 전에는 부인 펑리위안도 함께 정딩을 방문해 주민들 앞에서 무료로 공연을 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개혁개방이 막 시작된 시기에 시진핑이 낙후된 농촌이었던 정딩을 발전시키려 관광지인 룽궈푸를 개발하는 등 많은 노력을 했다”고 평가했다. 정딩현 중심에 있는 룽궈푸는 시진핑이 이곳에 남긴 대표적 ‘업적’이다. 당시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이 중국 고전소설 <홍루몽>을 드라마로 만든다는 소식을 듣고, 시진핑은 촬영 세트장을 이 시골지역에 ‘유치’했다. 촬영 뒤 이 시설은 관광지로 개방됐고, 드라마가 유명해지면서 한때 전국적으로 관광산업 육성의 모범으로 각광을 받았다. 시진핑도 유능한 젊은 관료로 주목받았다. 정딩은 시진핑의 정치적 야심과 리더십이 싹을 틔운 곳이다.
정딩에 있는 <삼국지>의 명장 조자룡 탄생지 유적 입구에 시진핑이 부인 펑리위안과 함께 2005년 방문했던 당시 사진이 전시돼 있다.
■ 겨울 탕거리 지존, 생태탕 아닌 ‘대구탕’ 된 사연은…
■ ‘4대강이 물난리 막았다?’ MB, 태국서 낯뜨거운 자화자찬
■ 박근혜-김종인 ‘결별수순’ 밟나
■ MBC ‘뉴스’ 또 방송사고…한달새 3번씩이나
■ 트위터에서 친박 성향 글이 60% 이상인 까닭
■ 특검, 청와대 ‘버티기’에 강수…‘수사기간 연장’ 변수 될까
■ <강남스타일>에서 절간 스님까지 커피 열풍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