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들서 “핵실험 규탄” 잇따라
일부선 정부의 대북정책 비판도
일부선 정부의 대북정책 비판도
북한의 3차 핵실험 강행에 항의하는 중국인들의 시위가 전국 여러 도시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 16일 랴오닝성 선양과 광둥성 광저우에서 소규모 항의 시위가 일어난 것을 시작으로, 안후이성 허페이, 후난성 헝양, 헤이룽장성 하얼빈 등지에서 북한 핵실험에 항의하는 시위 모습이 담긴 사진들이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 속속 올라오고 있다.
허페이에서는 한 청년이 샤오야오진공원 정문 앞에서 ‘북한 핵폭 항의, 동북 지역 동포를 구하자’라는 내용이 적힌 종이를 들고 1인 시위를 벌였다. 헝양 주민 6명도 ‘북한의 핵실험에 항의한다. 인류의 안전을 수호하자’는 현수막을 들고 거리로 나왔다. 하얼빈에서는 도심 거리 한복판에 북한 핵실험을 규탄하는 내용의 현수막이 내걸렸다.
최근 벌어진 북한 핵실험 항의시위의 참가자는 소수지만, 시위를 엄격히 통제하는 중국의 상황에서 곳곳에서 시위가 벌어진 것은 이례적이다.
북한 대사관에 항의 전화를 걸었다는 내용의 글들도 많다. 한 누리꾼은 “방금 북한 대사관에 전화해서 당신네 위대한 김정은 총통에게 중국 국민의 항의를 전하라고 말했는데 상대방이 침묵해 전화를 끊었다”는 글을 올렸다.
반북 여론이 고조되자 중국 공안 당국은 북한 대사관을 비롯한 북한 공관 경비를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안은 베이징에 있는 북한 대사관 정문 앞에 순찰 차량과 사복 경찰을 대거 배치해 시위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핵 실험 직후 북한과 가까운 동북3성 지역의 방사능 물질 확산을 우려하는 북한 비난 여론이 확산된 데 이어, 중국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성토도 이어지고 있다. ‘나의 눈’이라는 아이디를 쓰는 누리꾼은 “중국 외교부는 북한 핵실험 이후 말로만 항의하고 실질적으로는 국제 사회의 대북 제재 참여를 거부하고 있다”며 “이렇게 계속 가면 북한은 악마가 되고 중국은 인류의 죄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의 입장을 대변하는 관영 <신화통신>은 지난 16일 ‘북한 핵 실험은 중국 대북정책의 실패가 아니다’라는 글을 실어 중국의 기존 대북정책을 옹호하면서 ‘미국의 정책 실패’라고 비판했다. 비판 여론에 밀려 대북정책을 수정하지 않겠다는 당국의 의중을 내보인 것이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MB정부, ‘셀프훈장’ 이어 이번엔 ‘4대강 셀프검증’
■ MBC “알통 크면 보수?” 논문왜곡 ‘황당’ 뉴스
■ 퇴직 뒤 아무것도 않으면 846억원?
■ 농심라면 스프 원료서 또 발암물질
■ 서울 주유소, 가장 비싼 곳과 싼 곳 529원 차이
■ MB정부, ‘셀프훈장’ 이어 이번엔 ‘4대강 셀프검증’
■ MBC “알통 크면 보수?” 논문왜곡 ‘황당’ 뉴스
■ 퇴직 뒤 아무것도 않으면 846억원?
■ 농심라면 스프 원료서 또 발암물질
■ 서울 주유소, 가장 비싼 곳과 싼 곳 529원 차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