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기관지 ‘광명일보’ 등 언론
댜오위다오 언급 안한 점 강조
댜오위다오 언급 안한 점 강조
중국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미국 방문으로 미-일 동맹이 강화되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댜오위다오 문제에서 일본 지지를 선언하거나 미일안보조약 적용 대상임을 분명히 할 가능성을 우려해 왔다. 하지만 오바마 대통령이 댜오위다오 문제를 비켜가자 ‘중국을 의식한 조처’라며 주목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광명일보>는 24일 미-일 정상회담에 대해 “오바마가 아베를 냉대했다”는 평가를 내놨다. 신문은 “오바마는 회담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중-일간 댜오위다오 분쟁에서 어느 편에 설 것인지 등 민감한 문제에 대해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고 강조하며 “오바마 정부와 미국 주류 언론은 미국이 같은 편에 서주길 희망하는 아베의 방미를 이례적으로 냉대했다”고 전했다.
<광저우일보>는 북한 3차 핵실험으로 한반도의 긴장이 높아지고, 중-일 댜오위다오 분쟁도 악화되는 민감한 시기에 아베가 미국을 방문하자, 미국은 미-일 정상회담에 대해 “일부러 조용한 태도를 취했다”고 분석했다. 또 “중국이 부상하면서, (미국은) 일본의 도움 없이는 변하고 있는 동아시아 세력균형을 통제할 수 없지만, 군사적 충돌을 일으킬 수 있는 영토 분쟁에 휩쓸리기는 원하지 않는다”며 “미국은 중국과 직접적 대결로 나아가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 미국은 중-일 관계를 ‘싸우면서도 파국으로 향하지 않는’ 상태로 놔두는 것이 미국의 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음을 알고 있다”고 지적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