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독단적 토지계약 반발 시위
공안당국, 3000명 투입 강제진압
공안당국, 3000명 투입 강제진압
중국 광둥성 지방 정부가 지방 관리의 독단적인 토지계약에 반발한 주민들의 시위를 대규모 경찰력을 투입해 강제 진압했다. 외신들은 이 사태가 1년6개월 전의 ‘우칸촌’ 사건을 연상시킨다고 보도했다.
<아에프페>(AFP) 통신과 <파이낸셜 타임스> 등 외신들은 “중국 광둥성 제시현 공안 당국이 10일 대규모 전투경찰과 공안을 투입해 제시현 상푸촌에서 벌어진 시위를 강제 진압했는데, 이 과정에서 주민 30~40명이 부상당했다”고 보도했다. 이름을 밝히지 말아달라고 요구한 마을 주민은 “마을을 포위하고 있던 3000여명의 전투경찰이 새벽에 예고도 없이 들이닥쳐 최루탄을 쏘고 진압봉을 휘두르며 주민들을 해산시켰다”고 말했다. 경찰은 진압 작전에 앞서 마을의 전기와 통신망을 끊었다. 한 마을 원로는 “무자비한 진압에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상푸촌 주민들은 지난달 리바오위 촌위원회 위원장이 독단적으로 33㏊의 농경지를 지역의 완펑 전력회사에 50년 동안 헐값에 임대 계약한 사실이 드러나자 토지 반환과 촌장 파면을 요구하며 집회를 벌였다. 지난달 24일엔 촌위원회가 고용한 용역과 주민들 사이에 격렬한 충돌이 벌어져 차량 30대가 파괴되기도 했다. 사태가 악화되자 광둥성 당국은 8일부터 경찰력을 투입해 마을을 봉쇄했다.
광둥성 제시현 정부는 10일 오후 누리집에 “리바오위 위원장 등 책임자 10명을 이미 구속했고, 극렬 시위 주동자들을 체포하거나 수배하고 있다. 문제가 된 토지계약 문제는 지방 법원이 무효화하게 될 것”이라고 공지했다.
외신들은 상푸촌 사태가 우칸촌 사건을 연상케 한다고 보도했다. 상푸촌에서 100㎞ 떨어진 광둥성 우칸촌에선 2011년 부패한 촌 관리가 마을 공유 토지를 몰래 매각하자 주민들이 강력히 항의한 끝에 직선제로 촌장 등을 새로 선출한 바 있다. 그러나 당국이 선출된 촌장에게 실제적인 권한을 부여하지 않아, 우칸촌 주민들은 팔려나간 땅 가운데 3분의 1 정도만 되돌려 받은 상태다. 그 때문에 상푸촌 사태가 해결 쪽으로 가닥을 잡았는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 대통령, 부적격 김병관 12일 임명할듯
■ 새 노동장관 “전교조 법외노조화 시간 갖고 논의”
■ 김부겸 “민주당 주류 대선 패배 책임 있는게 사실”
■ 낙하산 안한다더니…‘MB 코드→박근혜 코드’…정권초 제사람 심기 본격화
■ [화보] ‘귀국’ 안철수 “부산 영도 출마 안한 이유는…”
■ 박 대통령, 부적격 김병관 12일 임명할듯
■ 새 노동장관 “전교조 법외노조화 시간 갖고 논의”
■ 김부겸 “민주당 주류 대선 패배 책임 있는게 사실”
■ 낙하산 안한다더니…‘MB 코드→박근혜 코드’…정권초 제사람 심기 본격화
■ [화보] ‘귀국’ 안철수 “부산 영도 출마 안한 이유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