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제재-경제협력 별도 추진
북한의 3차 핵실험 뒤 중국이 고강도 대북 제재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관측과 달리, 중국이 북한을 잇는 철도·도로·항공 노선을 확대·재정비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지린성 정부는 26일 “북-중 접경지대인 중국 투먼과 북한 나진, 청진을 잇는 철도를 개보수하기로 했다”며 “철도 재정비를 통해 중-북 접경지역의 무역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고 <환구시보> 영문판 <글로벌타임즈>가 보도했다. 지린성 정부는 “내년 개통을 목표로 투먼과 북한을 잇는 고속도로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린성 정부는 중-북-러 접경지역을 관광지로 개발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교통망을 재정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중 양국은 베이징과 평양을 잇는 정기 항공편도 주 3회에서 주 5회로 늘리기로 했다.
중국의 이런 움직임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에 해당하지 않는 북한과의 경제협력은 계속 이어가겠다는 뜻을 표시한 것으로 보인다.
진창이 연변대 교수는 “북-중 간 산업, 경제 협력은 오랫동안 지속돼 온 것으로 국제 제재를 위반하는 것도 아니다”며 “북한의 추가적인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를 억제하는 정도의 제재는 필요하지만 북한이 대화로 나올 수 있도록 국제사회가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딱 300만원에 가능한 럭셔리 해외여행지 어디?
■ ‘국정원 정치개입’ 폭로한 의원·기자 이메일 해킹 당했다
■ “정대세 잡으러 서울에 왔다”
■ [김선주 칼럼] 감자를 고를 때와 사람을 쓸 때
■ 공주대 교수 2명, 수년간 여학생 수십 명 성추행
■ 딱 300만원에 가능한 럭셔리 해외여행지 어디?
■ ‘국정원 정치개입’ 폭로한 의원·기자 이메일 해킹 당했다
■ “정대세 잡으러 서울에 왔다”
■ [김선주 칼럼] 감자를 고를 때와 사람을 쓸 때
■ 공주대 교수 2명, 수년간 여학생 수십 명 성추행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