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나이 ARF서 외교장관들 합의
9월 중국서 충돌방지 행동강령 논의
9월 중국서 충돌방지 행동강령 논의
중국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이 남중국해 영유권 갈등을 논의하는 다자간 회의를 오는 9월 중국에서 열기로 합의했다.
브루나이에서 열리고 있는 아세안지역포럼(ARF)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한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아세안 외교장관들은 6월30일 회의 뒤 “남중국해 영유권 충돌을 막을 행동강령을 제정하기 위해 9월 중국에서 첫 공식 협의를 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아세안 회원국 가운데 필리핀과 베트남,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등이 중국과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
중국과 아세안은 군사훈련 사전 통보, 영유권 문제의 평화적 해결 노력 등을 담은 ‘남중국해 행동선언’을 2002년 채택했지만, 이후 중국 쪽이 “영유권 문제는 해당 당사국끼리 양자 협상을 통해 해결할 문제”라며 구체적 사안에 관한 협의를 미뤄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이번에 중국이 다자간 협의에 동의한 것은, 지난달 필리핀이 중국과 영유권 분쟁 중인 스카보러섬(중국명 황옌다오)에서 미국과 합동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자국 내 군기지를 미국에 개방하겠다며 중국을 압박한 일 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날 합의 뒤에도 알베르트 델 로사리오 필리핀 외교장관은 “중국이 남중국해에서 군사력을 증강해 지역 평화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왕이 외교부장은 “남중국해는 기본적으로 안정돼 있다”고 말하는 등 신경전을 이어갔다.
한편, 일본 <교도통신>은 일본이 지난해 9월 센카쿠열도의 무인도를 국유화한 뒤 1일까지 중국 선박이 모두 50차례에 걸쳐 센카쿠열도 12해리(22㎞) 해역에 진입했다고 보도했다. <산케이신문>도 6월 중순 이후 중국 해양감시선 외에도 상하이 해양석유국 소속이라고 밝힌 해양조사선도 3차례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에 진입했다고 전했다.
베이징 도쿄/성연철 정남구 특파원 sych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영국도 아이 장래는 할아버지의 재력이 좌지우지
■ 미국이 워싱턴 한국대사관 도청했다는데…우리 정부는 ‘침묵’
■ 정준양·이석채·조석래·현정은, 국빈 만찬 왜 빠졌지?
■ 갈수록 짧아지는 ‘하의실종’ 교복, 남자 교사들은 천장만…
■ [화보] “대통령 물러나라” 이집트 사상 최대 반정부 시위
■ 영국도 아이 장래는 할아버지의 재력이 좌지우지
■ 미국이 워싱턴 한국대사관 도청했다는데…우리 정부는 ‘침묵’
■ 정준양·이석채·조석래·현정은, 국빈 만찬 왜 빠졌지?
■ 갈수록 짧아지는 ‘하의실종’ 교복, 남자 교사들은 천장만…
■ [화보] “대통령 물러나라” 이집트 사상 최대 반정부 시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