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관료들 대거 지방 고위직 보내
감독조 운영…관료주의·부패 감시
감독조 운영…관료주의·부패 감시
시진핑 체제 출범 뒤 중국 지도부가 지방에 대한 고삐를 바짝 조이며 중앙집권을 부쩍 강화하고 있다.
“시진핑 주석 체제가 들어선 뒤 800여명의 중앙 정부 관료 출신들이 지방 정부에서 고위관료나 인민대표, 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위원 등으로 자리 잡았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4일 보도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도 5일 “지난해 11월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 뒤 새로 뽑힌 22개 성급 지방정부 행정 수장 가운데 절반은 중앙정부 관료 출신들”이라며 “최근 30년 동안 볼 수 없었던 현상”이라고 평가했다. 이 신문은 9년간 중국의 국민권익위원회 격인 국가신방국장을 지낸 뒤 최근 안후이성장으로 옮긴 왕쉐쥔, 증권감독관리위 주석에서 산둥성장으로 간 궈수칭 등이 이런 사례라고 꼽았다.
아울러 공산당 중앙 지도부는 7월 들어 45개 중앙 감독조를 파견해, 전국 성과 자치구, 국가기관 등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정풍운동을 시작했다. 감독조의 총책임자는 류윈산 정치국 상무위원이며 시 주석이 4대악으로 규정한 관료주의·형식주의·사치·향락주의 타파가 주요 목표다. 홍콩 <싱다오일보>는 “시진핑 체제 출범 뒤 최대 규모의 정풍운동”이라고 평가했다.
저우즈런 베이징대 교수는 “시 주석은 전임 후진타오 주석보다 야망이 큰 사람이다. 자신이 믿을 만한 사람을 지방에 보내 정책을 집행하고 통제력을 강화하려는 것이 시 주석의 스타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원자바오 총리 시절엔 “베이징 중난하이(중국 지도자들의 집단 거주지 겸 집무실)만 벗어나면 말이 먹히지 않는다”는 평가가 나올 만큼 지방정부에 미치는 중앙정부의 권위가 강하지 않았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