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 뒤 실제 사업 크게 확장
금융당국, 뇌물 여부 등 조사
금융당국, 뇌물 여부 등 조사
미국 연방 당국이 투자은행인 제이피(JP) 모건 체이스의 중국 고위층 자녀 채용 비리 의혹에 대한 조사에 나섰다.
<뉴욕타임스>는 17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사법 당국이 제이피 모건이 중국에서 이권 사업을 따내려고 중국 고위 관리의 자녀들을 채용한 혐의를 잡고 조사에 착수했다”며 “조사와 관련한 당국의 기밀문서를 입수했다”고 보도했다.
기밀문서에 따르면 제이피 모건은 중국 전·현직 고위 관리의 자녀 2명을 고용했다. 전 중국은행감독위원회 부주석이자 종합금융회사인 광다그룹 회장 탕솽닝의 아들 탕샤오닝은 2010년 채용됐다. 2007년엔 장수광 전 중국 철도부 운수국장의 딸인 장시시도 채용됐다. 이들은 모두 제이피 모건에서 퇴사한 상태다.
중국의 고관 자녀들이 입사한 뒤 제이피 모건은 중국 사업을 크게 확장했다. <뉴욕타임스>는 “제이피 모건은 탕샤오닝이 입사하기 전까지는 광다그룹과 사업 실적이 미미했지만, 탕샤오닝 입사 이듬해인 2011년엔 광다 그룹의 민영화 관련 12개 금융 자문회사 가운데 하나로 선정되는 등 굵직한 사업 계약들을 맺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장시시도 철도 건설을 맡은 중국철도그룹이 2007년 기업공개를 위한 자문사로 제이피 모건을 고려하는 와중에 채용됐다”고 전했다.
미 증권 거래위와 사법 당국은 1977년 제정된 해외뇌물공여금지법에 따라 제이피 모건이 실력자의 자녀를 채용해 중국 사업을 따내는 과정에서 중국 관리들에게 뇌물 등 부당한 이득을 제공했는지 등을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법을 어긴 기업은 벌금이나 임원 구속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중국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이 사업을 확장하려고 중국 고위 관리의 자녀들을 채용하는 것은 관례에 가깝다. 그런데도 미국 당국이 조사에 나선 것은 최근 중국 당국의 움직임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당국은 지난달 다국적 제약회사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등 제약회사 임직원을 뇌물 제공혐의로 체포하는 등 다국적 기업의 ‘사업 관행’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일부에선 미 당국의 조사가 사전 단속 차원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현대차 사과에도 ‘수(水)타페’ 차주들이 분노하는 이유
■ 광주시 ‘광복절 체게베라 옷’ 징계 방침에 비판 여론
■ 누드모델 하영은 “벗으면 그 사람의 삶이 보여요”
■ [화보] “당신이 그립습니다”…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4주기 추모식
■ [화보] 국민 우롱한 원세훈·김용판 청문회가 ‘촛불’에 기름 붓다
■ 현대차 사과에도 ‘수(水)타페’ 차주들이 분노하는 이유
■ 광주시 ‘광복절 체게베라 옷’ 징계 방침에 비판 여론
■ 누드모델 하영은 “벗으면 그 사람의 삶이 보여요”
■ [화보] “당신이 그립습니다”…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4주기 추모식
■ [화보] 국민 우롱한 원세훈·김용판 청문회가 ‘촛불’에 기름 붓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