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온라인 여론통제 강화
정부 비판 누리꾼 대대적 체포
정부 비판 누리꾼 대대적 체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인터넷 강군을 양성해 뉴미디어 여론을 휘어잡아야 한다”며 온라인 여론 통제를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은 지난달 19일 공산당 선전 간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당이 전투적인 자세로 여론전에 임해 승리해야 한다”며 “강력한 인터넷 군대를 양성해 뉴미디어 여론 기반을 장악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4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소식통의 말을 따서 보도했다. 시 주석은 “지식인 집단을 조직해야 한다”며 선전 간부들이 되도록 많은 지식인들을 동원해 당의 방침을 뒷받침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또 “서구 사상은 결코 보편적인 것이 아니다. 매체들이 이런 사상을 퍼뜨려선 안 된다”며 “1980년대 초반 덩샤오핑이 4항 기본원칙(공산당 영도, 사회주의, 무산계급 독재, 마르크스·레닌·마오쩌둥 사상 견지) 아래 펼친 사상 정화 운동을 재개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회의에 참석한 소식통은 “시 주석의 발언은 회의 직후 관영 매체를 통해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단호했다”고 전했다. 당시 <신화통신>은 “선전, 사상 업무의 핵심은 마르크스, 공산주의를 더욱 공고히 하는 데 있다”는 정도로만 시 주석의 발언을 보도했다. 실제 이 회의 직후 공안 당국은 120만명의 웨이보(중국판 트위터) 팔로워를 보유한 쉐만쯔 등 정부에 비판적인 누리꾼을 대대적으로 체포했다.
시 주석은 취임 뒤 지속적으로 사상·언론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당 중앙위원회 직속 기관인 중앙판공청은 4월 언론자유, 서구식 입헌민주주의 등이 당의 집권을 위협한다고 규정한 9호문건을 각 기관에 하달했고, 3월엔 각 대학에 서구 인권 사상 등에 관한 토론을 금지하도록 했다. 한 중국 소식통은 “중국 지도부 안에선 사상 영역에서 자유를 풀어주면 자칫 통제 불능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강하다”고 말했다.
한 중국 언론인은 “앞으로 각종 매체에 관한 당국의 통제가 훨씬 강화될 것이고 그만큼 언론자유는 위축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