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족 대거 유입에 위구르족 위기감
채용차별·종교탄압 등에 불만 고조
채용차별·종교탄압 등에 불만 고조
중국 국토의 6분의 1가량을 차지하는 광활한 신장위구르자치구는 시짱(티베트)자치구와 함께 중국의 소수민족 문제를 상징하는 화약고로 불린다.
현재 신장위구르자치구에 해당하는 지역은 청나라에 복속됐다가 19세기 말~20세기 중반까지 중국의 통제에서 거의 벗어났다. 1949년 중국이 이 지역을 다시 병합한 뒤, 중국 정부의 차별정책에 항의하는 위구르족들의 항의와 분리독립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 한해 동안만 해도 크고 작은 무력 충돌로 100명 이상이 숨졌다.
중국 정부의 강압적인 통치는 위구르족 반발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슬람교를 믿고 터키어를 쓰는 위구르족들은 신장 지역으로 대거 이주한 한족들이 경제적인 이권을 독점하고 위구르족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말살하고 있다며 박탈감을 호소한다. 1949년 당시 신장 지역 인구의 6%에 불과하던 한족은 이제 이 지역 전체 인구 2180만명 가운데 54%를 차지한다. 위구르족들은 중국 정부의 주요 기관과 석유, 가스, 항공 분야 주요 기업들이 신장 지역에서 직원을 채용할 때 아예 위구르족을 배제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중국 당국은 또 위구르족 남성이 턱수염을 기르거나 여성이 히잡을 착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미성년자들이 종교시설에 출입하지 말도록 강요하는 등 종교적 탄압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당국은 유혈 충돌이 일어날 때마다 이 지역에 계엄령을 선포하는 등 강경책을 강화해 왔다. 시진핑 주석은 지난해 12월 당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중요 전략 지시를 내려 신장 지역에 대한 통제 강화를 강조했다. 관영 <차이나데일리>는 지난달 28일 “신장자치구 당국이 올해부터 테러방지법을 시행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당국은 또 최근엔 당국의 차별정책을 비판해온 위구르족 출신 일함 토티 중앙민족대학 교수를 ‘무장세력과 내통해 분리독립운동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연행했다.
중국 정부는 낙후된 신장 지역 개발을 위해 올해 616억위안(약 10조원)의 예산을 배정하는 ‘당근책’도 시행하고 있으나 혜택이 한족에 집중된다는 불만은 가시지 않고 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