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위원 억만장자 155명
평균재산 1조7천억…8년새 4배
평균재산 1조7천억…8년새 4배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가 ‘부자들의 잔치’로 변하고 있다. 이들 정치기구에 이름을 올린 억만장자의 급속한 재산 불리기가 중국의 심각한 정경유착의 실태를 상징한다는 지적이 많다.
지난 8년간 전인대 대표와 정협 위원으로 이름을 올린 억만장자의 재산은 4배 늘었는데, 이는 중국 최상위 부자 1000명의 평균 재산이 같은 기간에 3배 증가한 데 비해 더욱 높은 증가율이라고 <파이낸셜 타임스>가 5일 분석했다. 전인대 대표 가운데 86명과 정협 위원중 69명이 매년 중국 부호 순위를 매기는 ‘후룬 보고서’가 집계한 억만장자다. 이들 155명의 평균 재산은 97억위안(16억달러·1조7152억원)으로, 후룬이 집계한 중국 상위 부호 1000명의 평균 재산 64억위안보다도 훨씬 많다. 전인대와 정협에서 1번 이상 5년 임기를 마친 이들의 재산은 2006년 이후 316% 증가했다.
이는 당과 정부의 영향력이 막강한 중국에서 기업가가 당 간부·관리와 ‘꽌시’(연줄)가 있어야 성공할 수 있다는 통념을 확인시켜주는 현상이다. 꽌시를 통해 사업 허가 등에서 이익을 보거나 재산을 지키는 보호막으로 삼는 것이다. 중국 공산당이 2003년 민영기업가의 입당을 허용한 뒤 부유한 자본가의 입당이 크게 늘었다. 정경유착은 부정부패로 이어지고, 중국의 개혁이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번 보도는 후룬을 통해 공개된 기업가 재산을 분석한 것으로, 중국의 공직자 재산 공개가 계속 미뤄져 고위 관리의 재산이 공개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전인대 대표, 정협 위원의 실제 재산 규모는 훨씬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