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에서 중국 인권 상황 증언하려다 체포돼 수감
유가족 “주검에 멍자국…사진 촬영도 막아” 주장
국제사면위원회 “간절히 바랐던 치료조차 막아”
유가족 “주검에 멍자국…사진 촬영도 막아” 주장
국제사면위원회 “간절히 바랐던 치료조차 막아”
중국의 여성 인권운동가 차오순리(62)의 옥중 사망 사건을 둘러싸고 중국 사법당국이 가혹 행위를 했다는 비판이 높아지고 있다.
<비비시>(BBC)와 <자유아시아방송>(RFA) 등 외신들은 15일 “인권운동가 차오순리가 14일 베이징의 309병원에서 지병인 폐결핵과 간질환, 자궁 근종 등이 악화돼 숨졌다”고 보도했다. 베이징대 법대 석사 출신인 차오순리는 지난해 9월 스위스에서 열린 유엔(UN) 인권이사회에 참석해 중국의 인권 상황에 대해 증언하려 했으나 공안에 체포돼 수감 생활을 해왔다.
차오순리의 변호인인 왕위는 “지난해 10월부터 차오순리의 건강이 악화돼 사법 당국에 여러 차례 치료를 요구했지만 묵살당했다”며 “그의 죽음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중국 당국에 있다”고 말했다. 유가족들은 “병원 쪽이 상부의 지시라면서 그의 주검에 수의를 입히지 못하게 막았고, 사진 촬영도 막았다”며 “차오순리의 주검에 멍자국이 있었다”고 고문 의혹을 제기했다. 차오순리의 남동생인 차오윈리는 “당국이 개만도 못한 취급을 했다. 어떻게 이렇게 무자비할 수 있는가”라고 말했다. 인권운동가인 후자와 텅뱌오 등은 “공산당이 이번 일에 책임을 져야한다”며 “그의 수감과 사망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국제사회도 민감하게 반응했다. 국제사면위원회(AI)는 “애초 중국 당국은 차오순리를 투옥하지 말았어야 한다”며 “그가 간절히 바랐던 치료조차 허용하지 않은 중국 당국의 행위는 가장 야만적인 것”이라고 비판했다. 젠 사키 미국 국무부 대변인도 성명을 내어 “차오순리의 죽음에 깊은 유감을 표시한다”며 “중국의 인권 문제를 지속적으로 주목하겠다”고 말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