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0여명 방청해 인민재판 연상
3명에 사형…‘공포심 조장’ 목적
3명에 사형…‘공포심 조장’ 목적
민족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 최근 문화대혁명 시절의 인민재판을 연상시키는 대규모 공개재판이 열려 논란이 일고 있다.
신장자치구 북서부 도시 이리의 한 스타디움에서 7000여명의 청중이 모인 가운데 55명의 테러 혐의자와 일반 범죄자에 대한 선고공판 대회가 최근 열렸다고 <신화통신>이 28일 보도했다. 현장 사진을 보면 주황색 옷을 입은 피고인들은 무장경찰들의 감시를 받으며 트럭 위에 선 채 스타디움 본부석에 위치한 재판부의 판결을 기다리고 있다. 이 재판에서는 지난해 3살 유아를 포함한 일가족 4명을 살해한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 3명이 사형 선고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나머지 피고인들의 형량은 공개되지 않았다. 앞서 지난 9일 신장자치구 카스 사법당국도 300여명의 군중과 학생을 모이게 한 가운데 선고공판 대회를 열었다.
이런 대규모 공개재판은 최근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한 당국이 주민들에게 ‘분리독립 세력에 협력하거나 동조하지 말라’는 경고를 보내고, 공포심을 불러일으키려는 목적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런 식의 공개재판이 인권을 무시하고 있다는 비판이 적지 않다. 베이징의 변호사인 모샤오핑은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군중들이 모인 장소에서 재판을 하는 것은 인권 유린이다. 판결 전에는 어떤 피고인도 범죄인 취급을 받아서는 안되는데, 이런 형식의 재판은 법의 정신을 어기는 불법행위다”라고 말했다. 인권단체인 휴먼라이츠워치의 마야왕도 “이런 대규모 선고공판 대회는 법의 정의 실현보다는 경고를 전달하는 쇼로 비친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선고공판 대회가 위구르족의 반감을 더욱 키울 것이라는 우려도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신장 여행당국은 “신장을 방문하는 여행객 한명당 500위안(8만1300원)의 관광장려금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잇따른 테러 탓에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관광객이 40%나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신장 지역에선 150만여명이 여행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