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주로·정박시설 등 군사적 기능
베트남·필리핀과 영유권 분쟁지
매립작업 나서…남중국해 긴장
베트남·필리핀과 영유권 분쟁지
매립작업 나서…남중국해 긴장
중국이 베트남, 필리핀 등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남중국해에 인공섬 건설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계획이 승인되면 남중국해의 긴장이 한층 고조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7일 진찬룽 인민대 교수의 말을 인용해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베트남명 쯔엉사 군도, 중국명 난사군도) 근처 피어리크로스 암초(중국명 융수자오)를 매립해 비행 활주로와 정박 시설을 갖춘 인공섬을 만드는 방안을 (중국 연구기관에서) 검토하고 있다”며 “계획이 이미 중앙정부에 제출됐다”고 보도했다. 진 교수는 “이 인공섬은 크기가 44㎢인 인도양 디에고 가르시아의 미군 기지보다 2배 이상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리제 중국 해군군사학술연구소 연구원은 “인공섬은 군사적 지원 기능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피어리크로스 암초는 중국이 실효지배 중이지만 필리핀과 베트남도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곳으로 전략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은 스프래틀리 군도의 존슨 남 암초에서도 매립 작업을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남중국해 전략이 방어에서 공격으로 바뀌고 있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중국 <환구시보>는 지난달 중국선박 제9설계연구원이 남중국해에 인공섬을 건설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며 이 기관이 공개한 인공섬 조감도를 보도했다. 장제 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중국은 10여년 전부터 각종 기관들이 인공섬 건설 방안을 연구했고, 이를 건설할 수 있는 능력도 갖췄으나 주변 나라와의 마찰을 피하려 자제해왔다”라며 “하지만 최근 (남중국해상에서) 원유 시추작업 추진 사례에서 보듯 올해를 기점으로 공격적으로 태도를 전환하고 있다”고 말했다. 퇴역한 한 중국 해군 장성은 “중국이 남중국해에서 방공식별구역을 추가로 선포할 경우 인공섬은 좋은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필리핀 정부는 7일 중국의 남중국해 암초 주변 매립 작업에 우려를 표하면서, “중국의 매립 관련 보도를 주시하고 있으며 최대한 외교적 수단을 통해 갈등을 풀어나가려 한다”고 말했다. 베트남 정부도 5일 유엔(UN)에 “중국 정부의 (남중국해) 원유 시추 작업은 베트남의 주권을 침해하고 국제법을 어긴 것”이라고 호소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