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중국해 시추작업 갈등 빚자
베트남 최대 교역국 지위 이용
“신규사업에 기업 참가말라” 지시
베트남 최대 교역국 지위 이용
“신규사업에 기업 참가말라” 지시
남중국해 원유 시추작업을 두고 베트남과 갈등을 빚고 있는 중국이 외교·경제적 수단을 동원해 압박에 나섰다.
중국 외교부는 일요일인 8일 오후 이례적으로 ‘981번 원유 시추 플랫폼 작업과 관련한 베트남의 도발에 대한 중국의 태도’라는 장문의 성명을 내어 베트남 정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성명은 “중국이 지난달 27일 2단계 원유 시추작업을 시작한 뒤 7일 오후 5시까지 베트남은 최소 63척의 선박을 인근 해역으로 보냈으며, 이들이 중국 경계지역으로 돌진해 공무수행 중인 중국 선박에 1416차례나 충돌했다”고 주장했다. 또 “베트남 쪽은 잠수부를 동원해 그물, 부표 등을 설치해 중국의 원유 시추작업을 방해했다”며 “이런 행위는 중국의 주권과 안전을 위협하고, 국제법을 위반해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훼손시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외교부는 성명과 함께 1958년 해당 해역인 시사, 난사 군도의 중국 관할권을 인정한 양국 총리간 합의서와 베트남 지리 교과서 내용 등 5건의 문건을 첨부했다. 이는 최근 베트남이 중국을 유엔 해양법재판소에 제소하는 방안을 검토하며 국제 여론전을 펴는 데 대한 대응으로 보인다.
중국은 베트남에 대한 경제적 압박 카드도 꺼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9일 중국 국유기업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상무부가 최근 중국 국유기업들에게 베트남의 신규 사업 계약 입찰에 당분간 응모하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2004년 이후 베트남의 최대 무역 상대국이며, 현재 전자, 화학 등 분야의 113개 중국 회사가 베트남에서 활동하고 있다. 쉬리핑 중국 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중국이 베트남 정부에 경제적인 압박을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같은 기관의 장제 연구원은 “양국 관계가 험악한 상황에서 중국 업체가 입찰에 참여한다고 해도 베트남 정부가 허가를 내줄리 만무하다”며 이번 조처의 파장이 상징적인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