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지역 포럼 개막
중국-미국 ‘남중국해 영유권’ 놓고 첫날부터 신경전
미 “우린 안전 책임 있어” 중 “다른 세력 개입 말라”
중국-미국 ‘남중국해 영유권’ 놓고 첫날부터 신경전
미 “우린 안전 책임 있어” 중 “다른 세력 개입 말라”
“지각하셨습니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9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에게 핀잔을 줬다. 이날부터 미얀마 네피도에서 열린 아세안지역포럼(ARF)에서다.
이날 케리 장관은 왕 부장과의 양자 회담에 30분이나 늦게 도착하는 결례를 범했다. 더구나 그는 이 회담에서 “남중국해 영유권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위를 자제하라”는, 중국로서는 유쾌하지 않은 제안을 하려던 차였다. 왕이 부장은 통역을 통해 “30분도 넘게 기다렸다”는 말을 전하며 유감을 표했다. 이에 케리 장관은 “정말 미안하다. 회의 때문에 늦었다”고 양해를 구했다. 둘 사이엔 잠시 어색함이 흘렀다.
왕이 부장의 공개적인 핀잔을 신호탄으로, 이번 아세안지역포럼에선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설전이 계속됐다. 왕이 부장은 이날 기자들에게 “중국은 자신의 주권과 해양 권익을 지키는데 한치의 물러섬도 없을 것”이라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이어 그는 “중국과 아세안은 충분히 문제를 풀 능력이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만일 다른 세력이 개입한다면 중국과 아세안 국가의 공통의 이익에 손해를 끼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남중국해 영유권 갈등에 끼어들지 말라는 것이다.
앞서 케리 장관은 “미국과 아세안 국가들은 남중국해의 긴장을 완화하고 안전을 확보해야할 책임이 있다. 영유권을 둘러싼 갈등이 고조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관련 국가들이 이 지역에서 서로를 자극하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 지역에서 접안 시설 건설, 원유 채굴 등의 행동을 ‘동결’내지 ‘유예’하자고 제안했다. 베트남과의 분쟁 지역에서 원유 시추중인 중국의 행동을 겨냥한 것이다. 중국과 영유권 갈등을 겪고 있는 필리핀도 이에 찬성했지만 레 르엉 밍 아세안 사무총장은 “미국의 제안은 아세안 회원국 외무 장관들 사이에서 논의되진 않았다”라고 했다.
왕 부장은 “누군가는 ‘남중국해 긴장’이라고 이름 붙이면서 사태를 과장하거나 심지어 즐기고 있다. 우리는 이런 견해나 태도에 단호히 반대한다”며 “영토 문제는 당사국 사이의 대화를 통해, (배타적경제수역이나 항로 문제 등) 지역의 평화·안보 문제는 아세안과 함께 논의하는 투 트랙 전략을 취하겠다”고 밝혔다.
미국과 중국은 중국이 남중국해 파라셀 군도 5곳에 등대를 건설하겠다는 발표를 두고도 신경전을 벌였다. 마리 하프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7일 “영토분쟁은 평화, 외교적 방식으로 관리 해결해야 한다”고 에둘러 중국을 비판했고 이에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다음날 논평을 내어 “중국 고유 영토에 등대를 세우는 것은 해상 안전 확보에 필요한 당연한 조처”라고 반박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