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인대, 입법 초안 마련
친중국계로 구성된 선거인단 유지
홍콩 시민들 “무늬만 직선제” 비판
친중국계로 구성된 선거인단 유지
홍콩 시민들 “무늬만 직선제” 비판
중국 정부가 차기 홍콩 행정장관 선거 입후보자를 친중국 인사로 제한하겠다는 뜻을 명확히 했다. 중앙정부의 간섭없는 자유선거를 주장해온 홍콩 시민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는 27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2차 전체회의를 열어 2017년 직선제로 치러지는 5대 홍콩 행정장관 선거와 관련한 입법 초안을 마련했다. 초안은 1200명 규모의 현행 행정장관 선거인단을 유지하고, 선거인단 과반의 지지를 얻은 사람만 입후보할 수 있으며 입후보자는 2~3명으로 제한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중국 중앙정부의 ‘손때’가 묻은 친중국 인사로만 입후보자를 제안하겠다는 뜻이다. 1200명의 선거인단은 대부분 친중국계 인사로 구성돼 있다. 초안은 31일 전인대 의결을 남겨 두고 있다.
그동안 일반 시민이 자유롭게 입후보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요구해온 ‘센트럴을 점령하라’를 비롯한 홍콩 시민단체들은 “선거 제도가 개악됐다”며 반발했다. 이들은 “현행 간접선거 제도에서도 선거인단의 8분의 1 이상의 지지를 얻으면 입후보할 수 있는데 문턱을 더 높였다”고 비판했다. 마위에 홍콩 중문대 교수는 “이대로라면 일반 홍콩시민이 행정장관 선거에 나설 수 있는 가능성은 제로(0)다”라고 말했다. ‘센트럴을 점령하라’의 베니 타이 홍콩대 부교수도 “이 안대로 통과되면 31일 홍콩 행정장관 관저 앞에서 집회를 열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6월 이 단체는 행정장관 선출 방식을 묻는 비공식 국민투표를 진행했다. 78만명이 참여한 결과, 등록 유권자의 1% 이상의 서명을 얻거나 입법회(홍콩 의회) 선거에서 5% 이상의 지지를 얻은 정당이 공천한 인사면 입후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홍콩의 친중국계 단체들은 이달 초 중앙 정부의 결정을 따르는 것이 혼란을 막을 수 있다며 맞불 집회를 열기도 했다.
팡즈헝 홍콩교육학원 교수는 “행정장관 선거 제도를 둘러싼 갈등이 홍콩 사회를 분열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