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홍콩 시민들이 거리에서 홍콩 시위 상황을 담은 신문 기사를 들여다보고 있다. 수만명의 홍콩 시민들은 27일부터 2007년 치러지는 행정장관 선거의 완전 직선제를 요구하며 대규모 시위를 벌이고 있다. 홍콩/AP 연합뉴스
홍콩 대규모 시위 파장
대만 ‘통일반대’ 늘어날수도
마잉주 총통 “홍콩 사태 주시”
강경대응땐 홍콩 시장경제 신뢰도 흔들
중 경제 혜택 못본 ‘젊은 세대’ 시위 주도
중국인 홍콩으로 몰려들어
집세 고민…미래 불안감 높아
대만 ‘통일반대’ 늘어날수도
마잉주 총통 “홍콩 사태 주시”
강경대응땐 홍콩 시장경제 신뢰도 흔들
중 경제 혜택 못본 ‘젊은 세대’ 시위 주도
중국인 홍콩으로 몰려들어
집세 고민…미래 불안감 높아
정치적 자유를 요구하는 홍콩 시민들의 대규모 시위는 2017년 행정장관 직선제 선거 후보자를 친중국계 인사로 제한하겠다는 지난달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결정이 도화선이 됐다. 1997년 중국이 홍콩에 반환된 이후 지켜져온 ‘일국양제’라는 홍콩 통치 원칙은 물론 중국의 대만 통일 방안까지 흔들 수 있는 사태다. 중국 시진핑 지도부가 정치적 시험대에 선 셈이다.
홍콩 민주화 세력은 친중국계 인사 1200명으로 구성된 선거인단 과반의 지지를 얻어야만 행정장관 후보가 될 수 있게 한 전인대 결정은 ‘홍콩인에 의한 홍콩 고도 자치’를 약속한 덩샤오핑의 일국양제 원칙을 현 시진핑 지도부가 위반한 것이라고 비판한다. 오드리 유 홍콩 공민당 당수는 28일 집회 연설에서 “행정장관을 우리 손으로 뽑지 못한다면 ‘일국양제’ 원칙이 어떻게 지켜진다고 말할 수 있느냐”고 말했다. 하지만 중국 지도부의 생각은 다르다. ‘일국양제’는 “사회주의와 자본주의를 병행할 수 있다는 경제체제의 원칙이며, 정치체제는 중국의 사회주의 체제를 기본으로 해야 한다”며 강경한 입장이다. 시진핑 주석이 지난 22일 홍콩 경제계 인사들에게 “중국과 홍콩은 한배를 탄 운명 공동체이며 중앙정부의 ‘일국양제’ 원칙은 변함없다”고 한 것은 홍콩을 확실하게 중국의 정치적 통제 아래 두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29일 브리핑에서 “홍콩은 중국의 홍콩”이라고 못박았다.
중국은 홍콩 행정장관 선거에 제한을 두지 않을 경우 홍콩이 중앙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게 될 것을 우려한다. 더 중요한 것은 대만에 미치는 영향이다. 홍콩의 정치적 이탈이 대만의 반통일 움직임을 부추길 수 있는 탓이다. 마잉주 대만 총통은 28일 <알자지라> 인터뷰에서 “대만은 홍콩의 사태 전개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으며 중국이 홍콩을 지배하는 식의 ‘일국양제’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천안문 사태의 주역으로 대만에 머물고 있는 왕단과 우얼카이시는 “홍콩 민주화를 지켜내는 것이 대만의 미래를 지키는 것”이라며 대만인들이 홍콩의 민주화 시위를 지지해 줄 것을 호소했다. 지난 15일 <대만연합보>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47%가 중국과의 통일이 아닌 현상 유지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통일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12%에 그쳤으며 중국에 부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다는 응답은 57%에 달했다.
시진핑 주석은 강경책을 밀어붙이고 있지만, 진퇴양난의 고민스런 상황이기도 하다. <로이터>는 “이번 시위는 1989년 천안문 유혈사태 이후 중국 공산당 통치에 최대의 위협이 되고 있다”며 “강경 대응은 홍콩 시장경제에 관한 신뢰를 뒤흔들 수 있고, 무른 대응은 대륙 내 반체제 활동을 대담하게 만들 수 있다”고 했다. 중국 당국은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서 ‘중환’(센트럴) ‘점령’ ‘홍콩’ 등의 검색을 막았다.
홍콩 젊은 세대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이번 시위를 확대시킨 주요 요인이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이번 시위를 주도하는 것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젊은 세대”라며 “이들은 중국 경제의 부상으로 인한 혜택을 거의 보지 못한 반면, 외려 홍콩으로 몰려든 중국인들 때문에 치솟는 집세로 고민하고, 정치적인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높은 세대”라고 분석했다. 반면 40~50대 이상 경제적 기반이 있는 홍콩의 기성세대는 반중국 시위 등 정치적인 불안이 경제 혼란을 초래한다고 판단해 시위에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민단체 ‘센트럴을 점령하라’는 다음달 1일 대규모 집회를 예고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