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홍콩 사태에 관여 말라” 요구
대만 “홍콩인 요구 수렴해야” 응수
홍콩 행정장관 “학생들과 대화” 제안
대만 “홍콩인 요구 수렴해야” 응수
홍콩 행정장관 “학생들과 대화” 제안
3주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홍콩 시위 사태가 중국과 대만 관계에도 균열을 내고 있다.
판리칭 중국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 대변인은 15일 기자회견에서 작심한 듯 대만을 향해 불만을 표시했다. 판 대변인은 “민진당 등 대만 독립을 주장하는 세력들이 홍콩에서 벌어진 불법행위에 편승해 중국을 헐뜯고 혼란을 조장하고 있다”며 “이들은 중국과 대만의 관계를 어그러뜨리려는 저의를 드러냈다”고 말했다. 그는 “대만은 홍콩 사태에 관해 무책임하게 감놔라 배놔라 해선 안 된다”며 “양안 관계의 평화적인 발전이라는 과실은 쉽게 결실맺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경 발언을 했다.
판 대변인은 대만의 야당인 민진당을 지목했지만, 맥락상 국민당 소속인 마잉주 총통까지 비판에 포함했다. 마 총통은 지난 10일 대만 건국기념일 연설에서 “중국이 홍콩에 먼저 민주주의 길을 열어줘야 한다”며 도심 점거 시위를 벌이고 있는 홍콩 대학생과 시민들을 지지한다고 말한 바 있다.
대만도 맞받아쳤다. 대만 행정원 대륙위원회는 이날 “대만 뿐 아니라 많은 국가가 이성적인 대화로 문제를 원만히 해결하길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며 “중국은 홍콩인들의 요구를 수렴해 민주제도를 발전시키는 게 장기적인 양안 관계 발전에 의미있는 결정이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중국과 대만은 지난 2월과 6월 장즈쥔 중국 대만사무판공실 주임과 왕위치 대만 대륙위원회 주임이 1949년 분단 이후 정부 당국자로서는 처음 중국과 대만을 상호 방문해 공식회담을 여는 등 밀월 관계를 보여 왔다. 하지만 중국이 대만과의 통일에도 적용하려는 ‘일국양제’ 원칙을 내세워 홍콩 행정장관 선거 입후보 자격을 친중국계 인사 2~3명으로 제한하자 대만은 촉각을 곤두세웠다. 마 총통은 “일국양제는 대만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16일 렁춘잉 홍콩 행정장관은 기자회견을 열어 “다음주 초에 대학생들과 대화가 이뤄질 수 있기를 바란다”며 시위대와의 대화를 제안했다. 렁 행정장관은 “대학 총장들이 대화를 주재할 수 있을 것이고, 여러 차례 대화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대화는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의결한 행정정장관 선거안의 시행 방안에 관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며 시위대가 요구하는 선거제도 변경엔 선을 그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