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박 단속 -- 중국 공안들이 10일 베이징에서 마작으로 도박행위를 한 사람들을 연행하고 있다. 중국에서 마작은 인기있는 전통적이고 대중적인 오락이지만 중국 당국은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베이징/AFP 연합뉴스
중앙당교 교수 “없애자” 기고
“사생활 지나친 간섭” 비판도
“사생활 지나친 간섭” 비판도
‘부정부패 척결 바람에 마작도 된서리?’
중국에서 반부패와 법치 강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마작도 ‘타도’ 목록에 올랐다.
중국 공산당 간부 교육기관인 중앙당교의 셰춘타오 교수는 28일 당 기관지 <인민일보>에 기고한 글에서 “당내 간부들의 기강해이는 느슨한 일상 및 정치활동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있다”며 “조그만 스릴을 맛보려고 하는 마작이나 포커, 당 간부들의 교외 야유회, 공금을 써가며 명승지에서 진행하는 학습 모임 등은 단호히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미 중국에서는 시진핑 주석 취임 뒤 3공 경비(판공, 출장, 차량운행비) 제한과 호화 만찬 금지 등 반부패, 반사치 정풍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당 간부들의 소일거리인 마작과 포커도 금지 대상으로 거론된 셈이다. 마작은 마오쩌둥 시절 도박으로 인식돼 금지됐지만 1980년대 해금됐다.
현재 광둥성 광저우시와 구이저우성 레이산시 등에서는 당 간부들이 마작을 하거나 나이트클럽에 드나드는 행동을 금지하고 있지만 언론들은 ‘사생활을 지나치게 간섭하는 비현실적인 조처’라는 비판을 내놓고 있다. 일부에선 “마작은 중국 고유의 전통문화 가운데 일부다. 마작까지 금지하면 무슨 놀이가 남겠는가”라는 반론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신화통신>은 28일 “중국 군 검찰이 쉬차이허우 전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에 대한 조사를 마치고 기소 절차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군 검찰은 “쉬차이허우가 지난해 2월부터 방광암 확진 판정을 받고 치료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