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7.0%를 기록했다. 2009년 이후 6년 만에 가장 낮은 분기 성장률이다. 중국 정부가 곧 경기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5일 “2015년 1분기 국내총생산이 14조677억위안(2622조1700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7% 성장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성장률 7.3%보다 0.3%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분기별 성장률로는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 여파 탓에 6.6% 성장률을 기록한 2009년 1분기 이후 6년 만에 가장 낮다. 하지만 일부 우려와는 달리 성장률이 6%대로 떨어지지는 않았다. 중국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7% 가량으로 설정해뒀다.
중국 정부의 잇따른 부양책에도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는 것은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데다 내수와 수출·입 부진이 겹쳤기 때문이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11월과 올해 2월 잇따라 기준금리와 지급준비율 인하 등을 단행했지만 경기는 지지부진하다. 전국 주요도시의 아파트 가격은 계속 떨어지고 있다. 부동산은 중국 경제 전체의 4분의 1 가량을 차지한다. 무역수지도 부진해 3월 수출과 수입은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6%와 12.7% 감소했다. 내수 역시 제자리걸음이다. 2, 3월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모두 1.4% 오르는 데 그쳤다.
이 때문에 일부에선 중국이 디플레이션에 처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파이낸셜 타임스>와 <로이터>는 “구조조정 속의 중고속 성장을 의미하는 중국 정부의 ‘신창타이’(新常態·뉴노멀)가 저성장과 디플레이션, 실업률 증가로 의미가 변질되는 것 아니냐”고 했다.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은 14일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각각 7.1%와 6.8%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중국 당국이 곧 추가 경기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란 전망이 많다. 리커창 총리는 14일 경제계 인사들과의 좌담회에서 “경제 하강압박이 커지고 있다”며 “성장을 떠받칠 수 있도록 더 많은 재정정책을 쓸 것이다”라고 말했다. 뉴리 중국국가정보센터 거시경제연구실 주임은 영국 <비비시>(BBC) 방송에 “경기 하락을 막으려면 지속적인 지급준비율과 금리 인하를 포함한 적극적인 재정정책은 물론, 대규모 사회간접자본투자, 감세, 민간자본투자 등도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