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노역’ 중국인 1명당 1870만원씩 3765명 보상 합의
미국 이어 중국에도 화해 손짓…“한국인은 법적 상황 달라”
미국 이어 중국에도 화해 손짓…“한국인은 법적 상황 달라”
일본 미쓰비시 머티리얼이 2차대전 당시 이 회사에서 강제노역을 한 중국인들에게 사과와 보상을 하기로 했다. 이 회사는 지난 19일 강제노역에 동원된 미국인 전쟁포로에게도 사과했으며 영국 등 각국 피해자들에게 사과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한국인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사과와 배상은 “상황이 다르다”며 외면하고 있다.
미쓰비시 머티리얼은 23일 중국 강제노역 피해자 단체와 협상을 벌여 2차대전 당시 강제로 징집돼 이 회사가 운영한 12개 광산에서 노역을 한 중국인 3765명에게 1인당 200만엔(1870만원)의 보상금을 지급하고 사과하기로 합의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통신은 “사과와 보상금 지급 외에도 미쓰비시 머티리얼 쪽은 중국인 강제징용 희생자 기념비 건설과 실종 피해 징용자 조사에도 각각 1억엔과 2억엔을 내놓기로 했다”며 “양쪽은 다음달 2차대전 종전 70주년 전후로 중국 베이징에서 만나 최종 화해협정에 서명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양쪽은 지난해 1월부터 협상을 벌여왔다.
이번 조처는 중국인 강제노역 피해자에 대한 일본 대기업의 보상 중 최대 규모다. <중국신문망>과 <차이나 데일리>는 “미쓰비시 머티리얼의 보상과 사과는 일본 법원이 중국인 강제노역 피해자들이 제기한 소송을 기각한 뒤 처음이며 인원수로도 가장 많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 회사는 한국인 강제징용 피해자에 관해서는 사과와 배상을 할 계획이 없음을 내비쳤다. 이 회사는 “한국인 징용 피해자는 법적인 상황이 다르다”고 밝혔다. 일본 쪽은 1965년 한-일 기본조약(한일협정) 체결 때 강제징용에 대한 배상 문제가 매듭지어졌다고 주장한다. 중국과 일본 사정에 두루 밝은 외교 소식통은 “미쓰비시의 중국인에 대한 보상과 사과는 중-일 정상회담을 성사시키려는 아베 신조 정권과의 교감이 있었을 것”이라며 “그러나 한국과는 위안부 문제 등으로 워낙 강하게 대립하고 있어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에 일본이 관심을 두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