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최근 군부 내 비리 인사를 사법처리하면서 단행한 장성 승진 인사에서 조선족 출신의 여성 장군이 일약 ‘스타’로 떠올랐다.
<중국신문망>은 4일 중국군 전략미사일 사령부인 제2포병 기관지 <화전병보>(火箭兵報)를 인용해 제2포병 사령부 승진자 7명 중 대교(대령과 준장 사이 계급)에서 소장으로 승진한 이현옥(50·사진·중국명 리셴위) 소장의 화려한 전력을 소개했다.
이 소장은 제2포병 장비연구원 소속의 엔지니어 총책임자로 중국군 내 여장군 10여명 중 한명이 됐다. 특히 이 소장은 헤이룽장성 무단장(목단강)시에서 태어난 조선족이라는 점과 1982년 헤이룽장성 대입시험 이과에서 수석을 차지하고 명문인 베이징대 무선전자물리학과에 입학한 수재여서 화제다.
그는 90년 석사학위를 마치고 선택할 진로가 많았는데도 군에 입대한 점도 눈길을 끌었다. 한국을 비롯한 국외 취업이나 ‘중국의 실리콘밸리’ 중관춘의 대학동기들로부터 공동창업 요청을 받기도 했으나 모두 뿌리쳤다. 대신 지도교수를 따라 제2포병의 한 원로를 만난 그는 “당신 같은 젊은 인재가 2포병에서 일하면 훨씬 더 큰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말에 군 입대를 결정했다.
통신병으로 시작해 군에서 차례차례 경력을 쌓아 올라가던 그는 91년 걸프전으로 전자정보전 시대의 개막을 깨닫기 시작한 중국군의 정보시스템 구축을 이끄는 임무를 맡게 된다.
그는 당시 재래식 무기 중심으로 초보 단계였던 정보화시스템을 현대화하면서 95년 미사일 발사훈련장의 모든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어 제2포병의 지휘·정보 체계를 일체화한 ‘중국검망’ 시스템을 완성시킨 공로로 포상을 받았고, 우수과학기술인 등으로 선정돼 중국 정부의 보조금을 받고 있기도 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