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피해 차량 처리 대형 폭발로 200여명의 사상자를 낸 중국 톈진항 물류창고 인근에 주차돼 있다가 파괴된 수입 차량들을 구조대가 중장비를 이용해 치우고 있다. 톈진/신화 연합뉴스
톈진시 “700톤중 150톤만 회수”
그린피스, 국유기업 2곳도 위법
“위험물질 창고 최소 2곳 있었다”
그린피스, 국유기업 2곳도 위법
“위험물질 창고 최소 2곳 있었다”
200여명의 사상자를 낸 중국 톈진항 물류창고 폭발 사고 지역의 수질이 크게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톈웨이융 중국 환경보호부 응급센터주임은 20일 기자회견에서 “지난 15일 이후 폭발 사고 주변 42곳에 수질오염 검측소를 설치하고 오염도를 검측한 결과 25개 지역에서 시안화나트륨이 검출됐다”며 “이 가운데 8곳에서는 국가허용기준치의 356배가 넘는 양이 검출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는 “폭발 사고 지역 안의 수질은 시안화나트륨 오염이 심각하다”고 말했다. 전날 허수산 톈진시 부시장은 “사고 현장에서 시안화나트륨 150톤은 회수했으나 나머지는 폭발 과정에서 사라진 것 같다”고 말한 바 있다. 애초 현장엔 700톤의 시안화나트륨이 적재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중앙텔레비전>(CCTV)과 <중국신문망> 등은 “톈진시내 하천에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국제 환경보호단체 그린피스는 19일 “폭발 사고가 난 톈진항 지역에 최소 2곳 이상의 고위험 화학물질 보관창고가 더 있었다”고 밝혔다고 <가디언>이 보도했다. 우이슈 그린피스 동아시아 독극물 담당 간사는 “국유기업인 시노켐 산하의 중화톈진빈하이 물류유한공사와 톈진항 중화위험품 물류유한공사가 각각 폭발지역 근처에 물류창고를 운용하고 있었다. 두 곳 모두 사고가 난 루이하이사와 마찬가지로 주거지와 간선도로 부근엔 고위험 물류창고를 설치·운용할 수 없다는 법규를 어긴 채 7종류의 맹독 인화성 화학물질을 저장하고 있었다”며 “충격적인 것은 이 회사들이 모두 인근 주민들에게 이런 사실을 공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린피스는 두 곳의 물류창고가 주변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주요도로와 불과 1㎞도 떨어지지 않은 곳에 있었다고 했다. 우이슈 간사는 “중국 정부가 시급히 고위험 화학물질 보관창고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시민들에게 알리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중국 당국의 불투명한 사후 대처가 시민의 안전, 공산당에 대한 신뢰를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바스쿠트 툰칵 유엔(UN) 위험물질·폐기물 담당 특별조사관은 19일 “중국 정부가 불투명한 태도를 취하며 정보통제를 한 탓에 톈진 폭발사고 희생자가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닉 비슬리 오스트레일리아 라트로브대학 교수는 “1986년 소련 체르노빌 원전 사고가 그랬던 것처럼 톈진항 폭발사고는 가뜩이나 허약한 국가 지도부에 대한 신뢰를 더욱 뒤흔들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19일 평론을 통해 이례적으로 재난에 대처하는 서구 사회의 개방성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평소 서구 가치관을 비판하고 중국의 우월성을 선전했던 이 매체는 “보통 서구에서는 대형 재난사고가 나면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대중에게 적극적으로 알려 신뢰를 얻는다”며 “서구의 공보체계를 배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