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5%·0.5% 내려 또 부양책
증시 유언비어 등엔 조사나서 ‘채찍’
6월 중순 폭락 응급처치와 판박이
주가 1.27% 하락해 2927.29 마감
“투자자 공황 심리 달래기엔 부족”
FT “증시대책 주도 리커창 위태”
증시 유언비어 등엔 조사나서 ‘채찍’
6월 중순 폭락 응급처치와 판박이
주가 1.27% 하락해 2927.29 마감
“투자자 공황 심리 달래기엔 부족”
FT “증시대책 주도 리커창 위태”
중국 증시가 당근과 채찍을 동원한 당국의 고강도 비상 처방에도 불구하고 26일 반등에 실패했다. 지난 이틀 동안의 폭락세는 진정됐지만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를 불식시키지는 못했다.
중국 상하이지수는 이날 최대 진폭이 8%대에 이를 정도로 요동친 끝에 1.27% 하락한 2927.29로 장을 마쳤다. 중국 인민은행은 25일 증시 마감 뒤 예·대 금리와 지급준비율을 각각 0.25%와 0.5% 내린다고 발표했다. 6월28일 이후 두 달도 채 안돼 거듭 금리와 지급준비율을 동시에 인하하며 증시 부양에 또다시 나선 것이다. <신화통신>과 <신경보>등 주요 관영 매체들은 일제히 “이번 조처로 시중에 최대 7000억위안(128조원)의 유동성이 공급됐다”며 “분명 증시에 희소식이 될 것이다”라고 분위기를 띄웠다.
중국 당국은 강력한 채찍도 다시 꺼내 들었다. 공안당국은 증권감독관리위원회(증감위) 전현직 직원과 중신증권 이사장 등을 부당 내부거래와 허위 공문서 작성 등의 혐의로 조사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당국이 증시 부양책을 거둬들였다”는 유언비어를 퍼뜨린 혐의로 경제매체 <차이징> 직원도 잡아들였다. 공안부는 “지하금융을 통해 자금이 국외로 유출돼 시장질서를 어지럽힌다”며 “11월말까지 해외불법 송금을 집중 단속하겠다”고 발표했다. 6월 중순 증시 폭락사태 당시의 응급처치와 판박이다. 당국이 모든 조처를 총동원하다시피 했는데도 26일 상하이지수를 끌어올리진 못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대책이 현재 투자자들의 공황에 가까운 불안 심리를 달래기엔 역부족이라고 평가했다. 로널드 완 홍콩 파트너스 캐피탈인터내셔널의 최고경영자는 <블룸버그>에 “중국 정부가 어떤 조치를 내놓든 투자자들은 증시에서 빠져나오고 싶어 한다”며 “당국의 정책 실효성에 대한 믿음이 부족한 상태에서 당분간 하락 압력이 지속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류강 에이엔제트(ANZ)은행 수석 연구원은 “금리 및 지급준비율 인하 등 전통적인 통화완화책으로는 중국의 경제 위험성을 완화시키는 데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실물경기의 호전이라는 ‘실적’ 없는 상태에서 정부 대책은 공허하다는 분위기가 파다하다.
이런 가운데 <파이낸셜 타임스>는 중국 증시 파동이 경제 사령탑인 리커창 총리의 입지를 위태롭게 만들고 있다고 26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중국 정가 내부 인사들의 말을 인용해 “최근 중국 정치권에서 가장 뜨거운 화제는 증시와 거시경제 운용을 잘못한 리 총리의 낙마 여부”라고 보도했다.
리 총리는 마카이 부총리와 함께 정부의 증시 대책을 주도했다. 7월 초 유럽 순방을 마치고 돌아온 리 총리는 증시 폭락에 격노하며 정부 기관의 대규모 주식 매입과 투자자들의 단기매매 금지 등을 내놨다. 하지만 대책은 약발이 먹히지 않았고 증시는 거듭 폭락을 이어갔다. 윌리 람 홍콩 중문대 교수는 “최근 증시 위기 탓에 그러지 않아도 불안한 리 총리의 입지가 더욱 위협받고 있다”라며 “지금보다 상황이 악화돼 시진핑 주석이 희생양를 찾아야 하는 순간이 닥친다면 리 총리가 적임으로 꼽힐 것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예측은 과도하다는 반론도 적지 않다. 실제 중국 경제는 중앙전면심화개혁영도소조와 재정경제소조장을 틀어쥔 시진핑 주석과 일부 비선 측근들에게 좌우되고 있다. 케리 브라운 시드니대 교수는 “당장 리 총리를 교체한다는 것은 당의 위신과 신용을 크게 흔들어 지도부로서도 엄청난 위험이다”라며 “하지만 (시진핑 집권 2기가 시작되는) 2017년께 리 총리의 체면을 살리면서 좌천시키는 방식은 가능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리 총리는 25일 베이징에서 바쿠잔 사진타예프 카자흐스탄 제1부총리와 만나 “세계 경제 형세가 여전히 불안정해 중국 경제도 일부 영향을 받고 있다”면서도 “경제 운행은 여전히 합리적인 구간을 유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위안 추가 평가절하 가능성에 관해선 “근거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상하이주가 변동과 중국 당국의 주요 대책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